서울지역 네 곳에 있는 자원회수시설(쓰레기 소각장)을 지자체들이 공동 이용하는 주민합의가 4년 만에 성사됐다.
서울시는 서울 지역 자원회수시설 가운데 유일하게 공동 이용을 거부해 온 양천구 지역 주민들이 양천자원회수시설을 강서구, 영등포구 등 주변 주민들과 공동 이용하는데 동의했다고 24일 밝혔다.
강서구와 영등포구는 이 시설에서 소각하는 폐기물 1톤 당 2만1,000원의 비용을 내 소각시설 반경 300m이내 지역에 사는 3,413가구의 아파트 관리비를 보조키로 했다.
시는 2006년 12월부터 마땅한 처리시설이 없는 강서구와 영등포구의 생활폐기물을 양천자원회수시설에서 소각 처리를 해왔다. 그러나 환경오염 피해를 우려하는 소각시설 인근 주민들은 쓰레기 차량의 진입을 집단으로 저지하고, 자녀를 학교에 보내지 않는 등 거세게 반발해 왔다.
오랫동안 논란이 됐던 소각장 공동이용이 가능하게 된 것은 주민들의 인식 변화가 한 몫을 했다. 혐오시설로만 인식돼 온 자원회수시설이 친환경시설로 부상하면서 주민들의 마음이 움직인 것이다.
시 관계자는 “자원회수시설이 대기오염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검사 결과가 나오면서 해당주민들이 조금씩 마음을 열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현재 강남자원회수시설은 2007년 5월부터 강남ㆍ성동ㆍ광진구 등 동남권 7개 자치구가, 노원자원회수시설은 같은 해부터 노원ㆍ중랑ㆍ성북구 등 5개 자치구가 공동 이용하고 있다. 마포자원회수시설은 2008년부터 용산ㆍ종로ㆍ서대문ㆍ중구의 생활폐기물을 처리하고 있다. 나머지 자치구 중에서도 구로구는 2000년 7월부터 광명자원회수시설을 이용하고 있고, 은평ㆍ관악ㆍ동대문ㆍ금천구 등 4개 자치구는 인천 검단의 수도권 매립지를 활용하고 있다.
시는 자원회수시설이 정상 가동됨에 따라 원유와 LNG 등 연간 1,041억원의 수입 대체효과와 함께 온실가스 배출량도 연간 59만4,608톤 감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당초 2022년까지 매립이 완료될 예정이던 수도권 매립지의 사용기간도 2044년까지 연장될 것으로 전망했다.
권혁소 시 맑은환경본부 본부장은 “생활폐기물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오염 물질의 배출을 최소화해 자원회수시설이 시민의 신뢰를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관규기자 ac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