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발표한 4월 고용관련 통계에서 가장 주목할 건 민간 부문의 일자리 창출 여력이 빠르게 개선되고 있다는 것이다. 금융위기 기간에는 정부가 희망근로 등 단기적 재정 일자리 사업으로 고용시장을 떠받쳐 왔지만, 경기 회복으로 민간의 고용 여건이 회복되면서 고용 회복세가 향후 꾸준히 이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그만큼 고용 여건이 한층 나아진 것으로 볼 수 있다.
4월 취업자 증가수(전년 동월 대비) 40만1,000명 가운데 민간 부문이 기여한 정도는 76%인 30만3,000명. 이는 2007년 8월 이후 32개월만에 가장 큰 폭의 증가세다. 1월 민간 부문 취업자가 1만1,000명 감소한 것에 견주면 매우 빠른 속도로 민간 기업의 고용 여건이 개선되고 있는 것이다.
제조업 취업자가 2000년 10월(15만 9,000명)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것 역시 민간 부문 고용 창출 역량이 개선됐다는 증거다. 이에 따라 2008년 4분기 이후 8분기 연속 감소하던 제조업 취업자는 올해 1분기 1.6% 증가로 돌아섰고, 4월 광공업 취업자수는 2008년 6월 이후 처음으로 400만명 선을 회복했다.
경기 회복에 따른 민간소비의 증가는 서비스업의 고용 상황 개선으로 이어졌다. 서비스업 취업자 증가 수(전년 동월 대비)는 1월 31만명, 2월 36만2,000명, 3월 36만7,000명 등 3개월 연속 30만명을 넘어섰고, 올해 3월 중 창업한 법인도 5,632개로 2002년 5월 이후 가장 많았다.
하지만 모처럼 봄볕이 찾아 든 것은 사실이지만, 고용시장 전체가 좋아진 것은 아니다. 노동시장 주력 계층이 아닌 청년층과 노년층에게까지 그 온기가 확산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장년층인 30~50세 연령대에서만 실업률이 감소했을 뿐 15~19세(0.6%포인트), 20~29세(0.4%포인트), 60세 이상(0.7%포인트)에서는 실업률이 증가했다.
4월 전체 취업자의 주당 평균 취업 시간은 45.9시간으로 집계됐는데, 이는 3월(45.2시간)보다 개선됐지만 지난해 같은 달(46.2시간)에 비해서는 낮아진 것이다. 지역별 실업률 격차도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5.1%)과 인천(4.8%)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었고, 전북(2.0%), 전남(1.9%) 등 농가 비율이 높은 곳의 실업률은 낮았다.
한편, 개선된 고용 상황이 2분기까지는 이어질 것이라는 데에는 대다수 전문가가 동의하고 있으나, 하반기 이후의 장기 전망에 대해서는 견해가 엇갈리고 있다.
손민중 삼성경제연구소 연구원은 "현재까지 기업 인사 담당자 설문에서 드러난 하반기 채용 전망은 그리 밝지 않다"며 "지난해 재정 일자리 사업에 따른 기저효과가 하반기에 나타날 것이 분명한 만큼 기업이 얼마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해 주느냐가 올해 고용시장의 최대 변수가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반면 김재홍 신영증권 애널리스트는 "국내 고용 환경은 2월을 기점으로 안정적 개선 국면에 접어들었다"며 "국내 경기가 안정적 흐름을 지속하면 하반기 고용시장에서 불안 요소가 부각될 가능성은 낮다"고 내다봤다.
이영창기자 anti092@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