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 정부가 천안함 문제에 대한 공조 강화를 다짐했다.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중국 방문을 계기로 '선(先) 천안함 조사 후(後) 6자회담'이라는 천안함 외교 공동전선에 이상 기류가 생길 조짐이 보이자 양국은 공조 의지를 거듭 강조했다.
미국은 5일 혼선을 빚었던 천안함 사태와 6자회담 재개 문제에 대해 '선 천안함 조사_후 6자회담'이라는 입장으로 복귀했다.
필립 크롤리 국무부 공보담당 차관보는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천안함 조사가 마무리된 뒤 그것이 (6자회담 재개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결론을 내린다는 입장은 분명하다"며 "조사 결과를 지켜보는 것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의 (천안함) 조사를 전폭적으로 지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전날 "천안함 조사는 북한의 6자회담 복귀 결정 이전에 끝날 것"이라며 6자회담 재개를 우선시하는 듯한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켰던 것에 대한 해명이다.
크롤리 차관보는 앞서 4일 김정일 위원장의 방중과 관련 "북한의 6자회담 복귀를 희망한다"고 말해 미국의 입장이 6자회담 조기 재개로 바뀐 것 아니냐는 논란을 빚었다.
이에 우리 정부는 즉각 외교 채널을 통해 미국 측의 속내를 확인했다. 그러자 미국 정부는 '크롤리 차관보의 발언이 천안함과 6자회담의 분리 대응을 시사한 것으로 오해될 수 있을지 모르지만 실제 그런 생각을 갖고 있지 않다'는 취지로 해명하면서 양국간 공조 강화를 재확인했다.
6자회담 미측 수석대표 성김 북핵대표도 이날 워싱턴에서 열린 '4차 서울ㆍ워싱턴 포럼'에서 "천안함 원인 규명이 최우선 과제"라며 "조사 결과가 나오면 한국과 협의해 대응 방안을 결정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워싱턴 정가에서는 천안함 조사 결과가 나오면 6자회담 재개는 상당 기간 유보될 수 있다는 전망이 많다. 북한의 소행이라는 확실한 물증이 나올 경우는 물론이고, 그렇지 않더라도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정치적 판단'을 한다는 것이 한미 양국의 공통된 인식이기 때문에 6자회담은 천안함 사건 후속 대응이 가닥을 잡은 뒤에나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우리 정부도 "한ㆍ미 간에 이상 기류가 없다"고 강조하고 있다. 박선규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미국 역시 천안함 사건 해결 이전에 6자 회담은 없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안다"면서 "한미 양국은 이 부분에서 이견이 없다"고 말했다.
정부 관계자는 " 이명박 대통령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간의 신뢰 관계가 상당해 양국은 모든 문제를 협력해서 풀어가자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하지만 천안함 사고 원인 규명이 늦어지고 이번 북ㆍ중 정상회담에서 북한이 6자회담 재개나 비핵화 문제에 대해 진전된 입장을 밝힐 경우 미국의 기류가 다소 변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유인호기자 yih@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