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4일 전군 주요지휘관 회의에서 국가 안보태세와 군의 전비태세, 임전태세를 새롭게 가다듬을 것을 다짐하고 촉구했다. 군 출신도 아닌 대통령이 건국 이래 처음으로 전군 지휘관 회의를 주재한 상징성에 주목하는 이들은 단호한 군 개혁 의지로 풀이한다. 그러나 우리는 유례없이 고통스럽고 난감한 천안함 사태를 지혜롭게 수습하고 대응할 과제를 짊어진 군 통수권자의 고심 어린 노력으로 평가한다.
이 대통령은 회의 첫머리 연설에서, 자신과 고위 지휘관들의 책임을 먼저 일깨웠다. 초계함이 침몰해 젊은 병사 46명이 희생되고, 온 국민이 충격과 불안과 고통을 겪은 것을 통렬하게 자책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사태의 원인이 무엇이든, 국가 안보와 국민의 아들을 함께 지키고 돌보는 소임을 맡은 이들이 무한한 자괴감과 책임을 느껴야 한다는 대국민 고백으로 듣고 싶다.
이어 천안함 사태를 애초 남북관계가 얽힌 국제적 문제로 직감했다고 언급함으로써 처음으로 북한을 지목한 점이 두드러진다. 또 합동조사단이 원인을 규명하는대로 국제 협력을 통해 단호하게 조치하겠다는 다짐은 대응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의미가 크다. 강경한 응징을 외치는 보수세력과 북한의 소행을 아예 부정하는 진보세력은 모두 불만일 수 있다. 그러나 안보와 심정적 차원을 넘어 더 넓은 국익을 생각하는 국민은 달리 방도가 없는 불가피한 선택으로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국민의 인내와 이해를 얻기 위해서는 군은 비상한 각오로 의식과 자세를 혁신해야 한다. 특히 안이하고 방만함을 드러낸 고위 지휘관들은 묵묵히 임무에 충실하다 희생된 병사들과 국민에게 엎드려 사죄해야 한다. 그것이 진정 군인다운 자세이고, 군의 혁신을 이루는 길이다. 대통령 직속 안보 점검기구나 안보특보 신설, 긴급대응 및 보고체계 개혁 등보다 훨씬 중요한 일이다. 대통령이 군 지휘부의 매너리즘을 질책하면서도, 군의 사기를 해치는 지나친 비하와 불신을 용납하지 않겠다고 다짐한 뜻도 바로 이런 이유에서일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