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ㆍ2 지방선거가 30일 앞으로 다가왔다. 여야는 곧 공천을 마무리하고 본격적 세 대결 채비를 서두르고 있다. 이번 지방선거는 이명박 정부의 반환점과 겹치는데다 18대 국회의원 선거를 치른 지도 2년이 넘어 중간평가 성격이 불가피하게 두드러진다.
함께 치르는 교육감 및 교육위원 선거를 빼고는 기초의회 의원부터 광역단체장 후보에 이르는 모든 후보 공천을 정당이 맡는 선거법 체제도 정당 대결 분위기를 고조시키고 있다. 지난 참여정부 이래 사회 전체가 이념과 지역을 축으로 나뉘어 강파른 대립과 대결을 계속한 흐름이 별로 변하지 않은 점도 대결 강도를 한층 키울 조짐이다. 중앙정치와 다르기 마련인 지방정치 고유의 정치적 요구로 보아서는 대단히 걱정스러운 움직임이다.
국민 의식의 혼란을 부채질할 만한 굵직한 사건과 쟁점도 우려를 부추긴다. 천안함 침몰 사건이 자극한 안보위기 의식은 합동조사단의 최종 조사결과 가 나오기까지는 쉬이 가라앉지 않을 듯하다. 과거의'북풍'에는 미치지 않더라도 정치적 영향을 무시할 수 없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1주기를 맞아 민주당과 국민참여당이 앞다퉈'추모 분위기'를 부추기는 것도 선거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4대강 사업이나 세종시 건설에 대한 찬반 대립도 복잡하게 얽혀있다.
광역단체장(16명)과 기초단체장(228명), 광역의원(761명)과 기초의원(2,888명), 교육감(16명), 교육위원(82명) 등 3,991명의 지역 일꾼을 가려 뽑는 게 예삿일이 아니다. 그렇다고 후보는 보지 않고 정당만 보고 표를 던져도 될 만큼 지방정치 현실은 한가하지 않다. 그렇게 뽑은 '일꾼들'이 곳곳에서 저지르는 부정과 비리, 무책임을 더 이상 간과할 수 없다.
마지막 보루는 결국 유권자다. 무관심에서 벗어나 누가 일꾼인지 잘 살펴야 한다. 최소한 누가 누구인지는 관심 가져야 한다. 눈을 크게 뜨고 선거 부정도 감시해야 한다. 정당의 성찰과 유권자의 각성이 더해져야만 선거가 축제가 되고 정치가 살아날 수 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