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침몰 사건으로 미국의 동포사회도 뒤숭숭하다. 북한이 개입됐는지, 개입됐다면 앞으로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를 놓고 의견이 분분하다. 북한을 강하게 응징해야 한다는 사람은 주로 나이가 많은 쪽이다. 이들은 지금은 북한의 도발에 참기만 했던 과거와는 다르다고 말한다. 경제력이나 군사력, 국제사회의 위상 등이 천양지차이므로 응징을 해야 할 때라는 것이다. 보복시 전쟁 가능성에 대해 정작 얻어 맞으면 북한도 쉽게 그러지 못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반면 젊은 층은 신중한 편이다. 만에 하나 전쟁을 부를 수 있는 행동은 피해야 하고, 그렇다면 유일하고도 현실적 대안은 유엔을 통해 국제사회의 대응을 끌어내는 것이라고 말한다.
구조요원 안전 꼭 챙기는 미국
한 교민은 "이번 일로 중국 같은 북한을 지원하는 나라의 대북 인식이 달라져 대북 제재가 제대로 이뤄졌으면 좋겠다"는 논리를 펴기도 했다. 대북 대응에서는 생각이 달랐지만, 군과 당국이 실종자나 생존자 수색작업에서 드러낸 미숙함에 대해서는 한 목소리였다. 한주호 준위의 사망이나 금양호 침몰 같은 추가 희생은 최소한 없었어야 했다는 것이다.
공교롭게도 천안함 사건과 비슷한 시기에 미국에서도 참사가 있었다. 5일 웨스트버지니아주 한 탄광에서의 폭발로 갱도에서 작업하던 광원 29명 전원이 숨졌다. 40년 전인 1970년 켄터키주의 탄광에서 폭발사고로 38명이 숨진 이후 최악의 탄광사고였다. 신문과 방송에서 연일 대대적 보도가 이어졌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도 안전규칙을 지키지 않은 업체를 비난하면서 철저한 원인 규명을 다짐했다. 조지프 바이든 부통령과 함께 직접 현지로 가 장례식까지 참석했다. 의회도 청문회를 열어 진상조사를 벌였다.
정치권을 뒤흔든 큰 사건이었지만, 희생자 구조에 나서는 방식에서는 한국과 차이가 있었다. 주 당국이나 탄광 안전위생관리청(MSHA)은 화급한 구조작업 못지 않게 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추가 희생에 많은 신경을 썼다. 탄광에 들어찬 메탄가스로 폭발 위험이 있었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초기 구조작업은 거의 이뤄지지 못했다. 당국은 언론의 구조지연 지적에 "구조대원의 안전이 확보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결과적으로 한 사람도 구해내지 못했으나 유족들은 물론, 언론도 이의를 제기하거나 불만을 나타내지 않았다. 분초를 다투는 긴박한 상황이라도 안전에 대한 확신 없이 구조대원을 무책임하게 내려 보낼 수 없다는 공감대가 있었다.
미국의 탄광사고와 천안함 사건을 단순 비교하기는 어렵다. 무엇보다 젊은 군인들이 희생됐다는 점에서 국민이 느끼는 정서가 다르다. 무리한 구조작업에 나설 수밖에 없는 불가피성도 있었을 것이다.
안타까운 추가희생 반성해야
그러나 구조ㆍ수색 작업에서 한 준위를 비롯, 금양호 선원 등 10여명이 희생된 것은 반드시 되짚어봐야 할 문제다. 지원에 나선 미 해군도 잠수를 꺼릴 정도로 수온이나 수심 등의 조건이 나빴고 구조 전문가들도 "이런 상황에서 들어가는 것은 죽으러 가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경고했다. 잠수병을 예방하는 '감압챔버'나 심해잠수용 장비 등 기본적 장비조차 갖춰지지 않았다.
천안함 침몰은 국가안보 차원에서 많은 문제점과 경각심을 불러 일으켰다. 정부는 실종자 구조 등에서 드러난 문제와 함께 북한 연루 가능성에 대비한 치밀하고 강력한 대책을 마련하는 데 고민해야 한다. 이제는 정말 달라져야 한다. 삼가 천안함 희생자들의 명복을 빈다.
워싱턴=황유석 특파원 aquariu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