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수 조용필도 이제 환갑이다. 5월 5일 소록도에서 자선공연, 28과 29일 서울 잠실 올림픽 주경기장에서 '소아암 어린이를 위한 사랑콘서트'를 앞둔 그는 이렇게 말했다. "예술의전당에서 14일 연속공연을 할 때였다. 목이 쉴까 봐 슬쩍 반 음정 낮춰 불렀는데 노래하는 것 같지 않았다. 다시는 그렇게 하지 않겠다고 결심했다. 그럴 바에야 은퇴하겠다."
스스로 꺼림칙하고, 무엇보다 자신에게 실망하면서까지 노래를 할 이유가 없다고 했다. 자존심이다. "공연한 것을 녹음해 들어봐도 10년 전과 차이가 없어 아직도 내 목소리가 변했다고 느껴본 적이 없다"는 자신감이다. 이런 자존심과 자신감, 42년이 지나도 식지 않은 열정이 있기에 그는 런던 필하모니 오케스트라와 함께 하는 소록도 자선공연이나 초대형 잠실공연 무대에 오른다.
가수는 그 시대 삶과 정서를 노래에 담아 대중에게 추억을 만들어 주는 사람이다. 추억을 살아 있게 하려면 가수도, 노래도 살아 있어야 한다. 조용필이"립싱크를 거부해야 한다. 음정 안 되고 노래를 조금 못하더라도 정석대로 해 멜로디와 가사를 손상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하는 이유다. 그럴 바에야 차라리 '추억'으로 남는 것이 낫다. 밥 딜런을 포함해 얼마나 많은 국내외 유명가수들이 초라한 목소리로 그'추억'까지 무참하게 깨버렸나.
열정은 자신감과 자존심에서
조용필에게 음악은 추억인 동시에 역사이고 '나'다. 때문에 함부로 장난치거나 바꿀 수 없다. 한 자리에만 머물러서도 안 된다. 시대 정서를 담아야 새로운 추억들이 쌓인다. 30년 지기인 신문기자 홍호표 씨의 박사학위 논문을 재구성한 책 <조용필의 노래, 맹자의 마음> 은 그의 노래를 "인간의 본성에 호소하며 대중과 한 마음이 되는 음악"이라고 정의했다. 조용필의>
조용필의 노래를 맹자(孟子)의 사상적 특징과 연결한 이 책은 조용필이 왜'가왕(歌王)'인지를 분석하고 있다. 조용필에게 인간의 본성이란 인의(仁義)에서 발현한 '순정'이다. 그의 노래에 나오는 동심, 우정, 자연, 사랑과 이별이 그렇다는 것이다. "순정을 향해 가는 그 과정이야말로 욕심을 줄이는 과정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남을 탓하지 않으며, 무엇을 바라지도 않기에 적대감을 드러내거나 남을 비난하지 않는다.
차별이나 치우침도 없다. 트로트인 <돌아와요 부산항에> 가 있는가 하면, 발라드 <창밖의 여자> 와 정통 록인 <너무 짧아요> , 펑크록 <단발머리> 와 민요풍의 <한오백년> , 랩풍의 <킬리만자로의 표범> 도 있다. 말 그대로 '무장르''모든 장르'의 가수다. 스스로도 "극으로 흐르지 않고 그 중간 지점에서 대중 정서와 완벽하게 호흡을 맞추는 중용의 가수"라고 했다. 소재나 주제가 아이들에서 노인까지 아우른다. 킬리만자로의> 한오백년> 단발머리> 너무> 창밖의> 돌아와요>
시대를 외면하지도 않는다. 때론 리듬으로, 때론 멜로디로, 때론 가사로 대중이 감응하는, 꼭 있어야 할 곡들을 만들고 부른다. 1980년대 군사독재의 우울함을 판소리 창법으로 드러냈고, 민주화운동이 시작된 1987년 6월에는 <서울 1987년> 을 작곡했으며, 세상에 대한 좌파의 공격이 신랄하던 2003년에는 <일성> 으로 '우리를 아프게 하는 그들은 누구'인가라고 안타깝게 묻기도 했다. 그것을 통해 그는 이념이나 투쟁이 아닌 인간 본성에서 우러나는 마음을 전한다. 일성> 서울>
왕은 여민동락할 줄 알아야
조용필은 취미가 거의 없다. 미친 사람처럼 노래에만 몰두한다. 무대에서 1시간 넘게 말 한마디 하지 않고 노래만 부르기도 한다. 가수로서 그에게 최고의 선은 대중(팬)과 서로의 마음을 꿰뚫어 '하나'가 되는 것이다. 그 '하나'는 서로 원하는 상대가 되고, 소통하고, 감동을 가지지 않으면 불가능하다. 그것을 위해 조용필은 환갑에도 음정을 절대 낮추지 않은 열창을 고집하고, 낮은 곳으로 나아가기를 주저하지 않으며, 팬들에게 즐겁고 뜻있는 무대를 선사하기 위해 아이디어를 짜낸다.
언제부터인가 사람들은 조용필을'가왕'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트로트의 황제, 발라드의 황제 같은 특정 장르의 지배자가 아니라 노래의 왕이란 얘기다. 42년 동안 변하지 않는 목소리 덕분이기도 하지만, 어쩌면 노래를 통해 여민동락하려는 그에게서 맹자가 말하는 이상적 군주의 모습을 발견한 때문이지도 모른다.
이대현 논설위원 leedh@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