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제가 1분기에 12% 가까운 고속 성장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분기 성장률이 낮았던 기저(基底)효과를 감안하더라도 과열이 우려될 정도로 높은 수치인 것은 사실. 특히 일부 지역 부동산 가격이 버블 우려가 제기될 정도로 급등하고 있어 긴축과 위안화 절상 압력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1분기 성장률이 11.9%를 기록했다고 15일 밝혔다. 중국은 이로써 지난해 4분기 10.7%에 이어 2개 분기 연속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했다. 1분기 산업생산은 19.6% 급증했고, 소매판매는 자동차, 가전, 가구 등 내구재 판매에 힘입어 17.9% 증가했다. 1분기 고정자산투자는 전년 동기비 무려 25.6%나 뛰었는데, 주로 부동산 투자에 따른 것이다.
중국 경제가 12% 가까운 고성장을 기록하면서 과열우려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이를 의식한 듯 중국 정부도 "지난해 1분기 성장률이 6.2%에 불과했다"면서 '기저효과'를 강조, 과열 논란을 차단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그러나 높은 성장률에도 불구하고, 물가는 비교적 안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2.4% 상승해, 2월(2.7%)보다 오히려 둔화했다. 다만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원자재, 연료 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3월 5.9% 뛰어, 향후 소비자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인플레압력이 높지 않게 나옴에 따라, 중국이 당장 출구전략을 시행하지는 않을 것이란 전망이 많다.
하지만 중국 정부가 가장 걱정하는 부문은 따로 있다. 치솟는 부동산 가격이다. 지난달 전국 70대 도시의 부동산 가격 상승률은 전년 동기대비 11.7%에 달했고, 최근 베이징이나 상하이 등 대도시의 일부 지역에선 집값이 무려 50~100% 급등하는 사례도 빈번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국무원은 성장률 발표 전날인 14일 부동산 가격 급등에 대해 논의하는 회의를 소집했고, 오후에는 웹사이트를 통해 "이례적인 부동산 가격 상승을 단호히 제한하고 투기성 주택 구입을 금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때문에 많은 전문가들은 부동산 버블을 막기 위해 중국 정부가 취할 행동은 금리인상보다는 일차적으로 세제를 포함한 부동산 규제강화와 대출 총량규제 등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즉 거시적 대응보다는 미시적 대응에 나설 것이란 관측이다. 특히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폐지됐던 재산세를 부활시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진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의 T J 루 애널리스트도 "조만간 재산세 인상이 이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중국 정부가 부동산세제 및 규제 다음으로 뽑을 카드는 위안화 절상으로 점쳐지고 있다. 홍콩 소재 소시에테제네랄의 글랜 맥과이어 이코노미스트는 "지난달 물가지표가 시장의 예상과 거의 부합했기 때문에,성장률만으로 경기가 과열됐다고 해석할 수는 없다"며 "중국 정부의 다음 행보는 위안화 절상 카드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마도 금리인상은 여러 출구단계 가운데 가장 마지막 선택이 될 것이란 얘기다.
최진주 기자 pariscom@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