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김태준의 문향] <27> 정철의 '관동별곡'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김태준의 문향] <27> 정철의 '관동별곡'

입력
2010.04.12 00:02
0 0

송강 정철(松江 鄭澈,1536~93)은 임진왜란 앞뒤 시대에 활동한 문신으로, 한국 시가문학사를 빛낸 대표적 문인이다. '관동별곡(關東別曲)'과 '사미인곡(思美人曲>'등 4편의 가사(歌辭)와 단가[時調] 74수를 남긴 조선조 제일의 시인으로, 임억령·김인후·기대승의 성산가단(星山歌壇)에서 배우고, 호남가단(湖南歌壇)의 중심이 된 문인이다. 특히 그의 국문 시가는 우리말의 구사와 조어에서 뛰어나서 "악보(樂譜) 가운데 으뜸 노래[絶調]로 제갈공명의 <출사표(出師表)> "에 비견되고(홍만종; <순오지(旬五志)> ), 혹은 "동방의 <이소(離騷)> "(김춘택; <북헌집(北軒集)> ) 로 굴원(屈原)에 비견된 평가를 받았다.

특히 '관동별곡'은 송강이 45살 되던 해(1580)에 강원도 관찰사가 되어 관동팔경을 구경하고 쓴 기행가사로, 294구로 쓴 장가이다.

"소향로 대향로봉 눈 아래 굽어보며/ 정양사 뒤 진헐대에 다시 올라 앉아보니

금강산 참 모습이 여기서는 다 뵈는구나. /어와 조물주가 야단스럽기도 야단스럽구나

날거든 뛰지 말거나 섰거든 솟지 말거나 / 부용을 꽂아놓은 듯 백옥을 묶어놓은 듯

동해를 박차는 듯 북극성을 괴고 있는 듯/ 높을시고 망고대 외로울 사 혈망봉이

하늘에 치밀어 무슨 일을 아뢰려고/ 천만 겁 지나도록 굽힐 줄 모르는가

아아 너로구나 너 같은 것이 또 있는가."(<관동별곡> 일부, 풀어쓰기)

금강산의 정맥(正脈)에 자리 잡아 볕 바른 곳 정양사(正陽寺)는 내금강의 40여 개 봉우리를 한 눈에 볼 수 있다는 최고 전망으로 이름난 곳. 이 절 뒤 진헐대에 올라 앉아 금강산을 내려다보며 읊어낸 송강의 노래는 "이태백(李太白)이 다시 나서 고쳐 의론하더라도 여산(廬山)이 여기보다 낫단 말은 못하리라"고 했다. 겸제 정선(謙齋鄭敾, 1676-1759)이 1734년에 그렸다는 '금강전도'(국보 제217호)는 그림의 왼쪽에 무성한 숲이 어우러진 정양사와 진헐대를 배치하여 '관동별곡'의 영향을 짐작할 수 있게 했다. 그림 위에 붙인 제화시(題畵詩)에는 "만 이천 봉 개골산을 누가 참모습 그릴 건가?… 몇 송이 연꽃 해맑은 자태 드러내고 솔과 잣나무 숲에 절간은 가려있네"라 하였다.(유준영;<금강전도> 해설 참조)

송강의 이 기행가사 또한 그보다 25년 앞서 나온 백광홍(白光弘,1522-56)의 '관서별곡'에서 영향을 받았고, 우리말을 맘대로 주물러서 구사한 솜씨는 그가 젊어서부터 익힌 호남가단의 시적 전통에 이어져 있음에 틀림없다. 그것은 "이고 진 저 늙은이 짐 풀어 나를 주오/ 나는 젊었거니 돌이라 무거울까"('훈민가 제16')나, "한 잔 먹세거녀, 또 한 잔 먹세거녀 꽃 꺾어 산(算) 놓고 무진무진 먹세거녀..."('장진주사(將進酒詞)') 등 시조에서 더욱 빛났다.

보덕굴 벼랑 밑으로 이영로 박사를 따라 천연기념물 제232호 금강국수나무꽃을 찾던 내금강 기행을 떠올리며, 내외금강 길이 다시 열릴 날을 손꼽는다.

동국대 명예교수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