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실업자 10명 중 평균 4명은 청년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활동의 중추인 젊은이들이 기나긴 실업의 터널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본보가 23일 입수한 한국고용정보원의 '장기실업자의 구직 활동 및 정책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장기실업자 7만5,300명 중 40.1%가 15~29세의 청년층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어 30~39세가 25.8%, 40~49세가 18.4%, 50~59세가 13.2%, 60세 이상이 2.5%로 나타났다.
장기실업자는 6개월 이상 실업 상태로 있는 구직자를 말한다. 장기실업은 소득 단절에 따른 생계 곤란, 사회적 불평등과 갈등의 심화, 직업 획득에 필요한 기술이나 지식의 상실에 따른 인적자원의 손실 등 사회ㆍ경제적 폐해를 초래한다. 무엇보다 단기실업과 달리 일시적 경기변동에 그다지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정부의 단기적 경제 확장 정책으로 대응하기 어려워 실업 상태가 고착화하는 경우가 많다. 전체 실업자의 10% 수준에 불과하지만 장기실업 문제가 더 심각한 이유다.
실제 장기실업자 526명을 대상으로 한 이직 후 구직활동 시기에 대한 고용정보원의 조사에서 1개월 이내가 55.5%, 2, 3개월이 26.2%로 전체의 81.7%가 이직 후 3개월 동안만 적극적으로 구직 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4, 5개월 9.3%, 6개월 이후 9% 등 시간이 지날수록 구직 의욕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개인 인맥을 통한 구직활동이 52.6%에 달해 워크넷 등 정부의 고용 중개 시스템 이용률을 높일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들이 직업훈련을 받은 경우도 18.6%에 불과했다. 또한 장기실업자가 희망하는 월평균 임금은 191만원으로 마지막으로 근무했던 직장의 평균 월급 170만원보다 많아 눈높이를 낮출 필요가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권우현 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장기실업자 상당수는 노동시장에서 통계로 잡히지 않기 때문에 훨씬 많을 것"이라며 "실업 대책이 효과를 보려면 이들의 인적 구성이나 구직 특성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김광수 기자 rolling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