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가족부가 오늘 공식 출범한다. 보건복지부로 이관했던 가족ㆍ청소년 업무를 2년 만에 돌려받은 것이다. 그런 만큼 덩치도 커졌다. 기존 여성부에 비해 인원과 조직이 2배 가까이 된다. 소관 법률도 과거 5개 여성관계법에서 청소년보호법, 건강가족지원법 등이 추가돼 18개가 됐고, 예산도 4배나 늘어났다.
정부가 정책 실패라는 비난을 감수하고 여성과 가족ㆍ청소년을 다시 하나의 영역으로 묶은 것은 이 세 가지야말로 서로 떼어 생각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여성과 청소년 문제를 함께 고려하지 않은 가족정책은 공허하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다. 여성가족부가 정책 목표를 '정책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일과 생활이 조화롭고, 여성과 청소년 가족 모두 건강한 사회 조성'으로 잡은 것도 이 때문이다.
여성가족부가 해결해야 할 일은 한 두 가지가 아니다. 당장 여성 고용 문제부터 풀어야 한다.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남성 취업자수는 3만 1,000명이나 늘었지만 여성은 반대로 10만300명 줄었다. 여성실업자가 50만명에 육박하면서 비경제활동인구도 사상 최대(1,024만명)로 남성의 2배에 달한다. 그나마 어렵게 일을 하는 경우도 남성보다 평균 38%나 적은 임금차별을 당하고 있다.
가장 큰 원인은 두 말할 필요 없이 여성들의 육아, 가사 부담이다. 그로 인한 저출산과 여성들의 경력 단절, 고용차별을 해소하기 위해 여성부가 내놓은 것이 '퍼플잡'(유연근무제)이다. 개인 사정에 맞게 출근시간과 근무시간을 조정해 여성들의 육아 가사 문제를 해결하고 고용도 늘리겠다는 것이다. 이런 단기대책과 함께 더 많은 여성들이 출산과 육아 걱정 없이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 각종 청소년 문제, 특히 아동성폭력 예방과 대책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100만명을 넘어선 다문화가족에 대한 정책도 단편적 지원에서 벗어나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세워 여성가족부라는 이름에 걸맞은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