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이동통신사들이 무료혜택, 가격인하 등 파격적인 할인으로 시장 경쟁을 주도하겠다며 내놓은 서비스 중 상당수가 '생색내기용'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다.
14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업체들이 경쟁적으로 유무선융합서비스(FMC)를 출시했지만 가격 할인혜택을 받을 수 있는 지역 범위가 제한적이거나 전용 단말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FMC이용자가 기존 결합상품처럼 극소수에 머물러 있다.
KT는 3G(세대) 스마트폰 이용자에게 월 6만5,000원에 데이터 1GB 까지 무제한 사용할 수 있는 요금제를 판매하고 있으나, 실제로 이용자의 월평균 모바일 인터넷 사용량은 200~300메가바이트(MB)에 불과하다. 결국 700~800MB 가량은 통신사가 '데이터 낙전수입'으로 들어가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시민단체들은 남은 데이터 용량을 이월시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KT는 "데이터 잔여 용량을 이월하는 것은 안 된다"며 "테더링으로 이용하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SK텔레콤도 기존 10초 단위에서 1초단위로 요금을 적용하는 초당과금제를 도입했으나, FMC서비스에서는 초당과금을 제외시켜 논란이 되고 있다. 통합LG텔레콤도 최근 기존 모바일 데이터에 대해 사용료를 획기적으로 인하하는 '2OZ 무한자유 플러스 요금제'를 내놓았으나 정작 휴대폰 사용자에게 보다 효과적인 초당과금제는 적용하지 않고 있다.
윤명 소비자시민모임 부장은 "아무리 혁신적인 서비스를 많이 출시한다고 해도 소비자의 혜택이 제한적이라면 의미가 없다"며 "소비자들이 이용한 만큼만 지불할 수 있는 요금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임현주 기자 korearu@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