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는 지난 24일 미국과 한국에서 생산된 신형 쏘나타에 대해 자발적 리콜을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안전에 치명적 결함이 없는 앞문 잠금장치 문제지만, 도요타 사태를 감안해 선제 대응키로 했다는 것이다. 즉, 고객 안전을 우선하는 경영방침에 따라 소비자가 문제를 제기하기 전에 스스로 결함을 찾아 공개했다는 자화자찬이었다.
하지만 현대차의 이런 주장은 하루도 안돼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작년 9월 신형 쏘나타 생산이 시작된 지 한 달 뒤부터 국내 동호회 게시판에 앞문 잠금장치 불만이 올라오기 시작했고, 실제 2건의 결함에 대해 이미 개선 조치를 취했다. 결국 문제의 부품이 장착된 4만6,000대의 국내 생산 차량에 대해선 전혀 조치를 취하지 않다가, 미국에서 문제가 불거지자 마지못해 한국 쏘나타까지 함께 리콜에 나선 셈이다.
현대차 동호회 게시판에는 신형 쏘나타의 잠금장치 결함은 물론, 다른 차종의 더 심각한 결함을 호소하는 글들도 많이 올라오고 있다. 하지만 시동 꺼짐이나 안전벨트 결함 같은 치명적인 문제가 아니면 리콜에 나서는 경우는 드문 게 현실이다. 더욱이 심각한 결함이라도 공식 리콜을 하지 않고, 문제를 제기하는 차량만 '자체 무상수리'라는 편법으로 해결한 채 쉬쉬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우리는 지나치게 빨리 성장하려다 길을 잃었다." 도요타 아키오 사장의 고백이다. 현대차는 최근 수년간 해외 생산시설을 급격히 늘려 온 도요타 모델을 따라왔다. 언제든 품질이나 안전 문제로 위기에 처할 가능성이 있다고 봐야 한다. 현대차는 국내 고객들을 홀대한다는 소비자들의 외침을 가슴에 깊이 새겨야 한다. 해외는 물론 국내에서도 작은 결함이라도 신속히 공개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서비스 정신을 잃어서는 안 된다.
정부도 자동차 업계가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하도록 철저히 감독해야 한다. 다행히 정부가 내년부터 결함 있는 공산품에 리콜 명령을 내릴 수 있도록 법을 고친다고 한다. 기업이 소비자들의 호소를 외면할 경우에 대비해 강제 리콜 규정을 마련하는 것은 너무도 당연하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