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의 닉네임은 '경제대통령.' 그만큼 국민적 기대도 높았고, 이 대통령 본인의 자신감도 컸다.
하지만 공교롭게도 이명박 정부는 취임 1년도 채 되지 않아 글로벌 금융위기를 맞았다. 비록 위기의 충격은 피할 수 없었고, 수직낙하-수직상승의 롤러코스터를 타는 한국경제의 '냄비체질'은 이번에도 반복됐지만, 그래도 다른 어떤 선진국보다 한국 경제가 신속한 회복궤도에 진입한 것은 다행이 아닐 수 없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지난해 0.2%의 실질성장률을 기록하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자원수출국인 호주를 제외하고는 유일하게 플러스 성장을 달성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조기 위기극복의 첫 번째 배경으로, 주저없이 이명박 정부의 과감한 재정집행을 꼽는다. 김광두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는 "무엇보다도 재정지출의 속도가 빨랐던 것이 좋았으며 그 덕분에 금융 위기를 일찍 벗어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빠른 위기극복은 국제무대에서 한국경제의 저력이 재평가 받는 계기가 됐다. 특히 G20 서울개최를 유치함으로써, 한국은 경제분야 뿐 아니라 종합적 국격(國格)상승의 기회를 앞두고 있다.
하지만 경제회복 이면엔 그늘도 남는다. 경기는 위기를 넘었지만, 고용위기는 여전히 진행중이다. 특히 지난달엔 실업률이 5%까지 뛰면서 9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는데, 일자리 위기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경제대통령'에 대한 국민적 만족도는 결코 개선되기 어렵다. 과감한 예산집행이 남긴 재정수지악화도 장기적으론 짐이 될 전망이다.
이명박 정부 2년을 되돌아볼 때, 주목할 변화 중 하나는 이 대통령의 경제운용철학 즉 MB노믹스의 변화다. 집권 초 MB노믹스는 정부의 부인에도 불구하고, 감세와 규제완화 등 대기업ㆍ부자중심의 경제 정책으로 흘렀던 것이 사실. 하지만 촛불사태와 리더십 위기를 거치면서, MB노믹스는 '강부자' 중심에서 '친서민' 위주로 과감하게 변신했다. 한 정부관계자는 "서민과 중소상인들이 정책적 최우선 고려사항이 된 것은 분명한 사실"이라고 말했다.
'저탄소 녹색성장'은 이명박 정부가 개발한 의제 가운데 국내는 물론 국제적으로도 '히트상품'이 됐다. 얼마나 성과가 뒷받침되느냐가 관건이지만, 경제운용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한다는 점에서 긍정적 평가가 많다. 권순우 삼성경제연구소 거시경제실장은 "장기적으로 안정된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서도 이젠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영창기자 anti092@hk.co.kr
정민승기자 msj@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