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수정안 당론화 여부를 놓고 한나라당 주류와 비주류가 팽팽한 줄다리기를 거듭하고 있다. 주류 측이 당론 변경을 위한 의원총회 소집에 강한 의욕을 보이는 반면 비주류 측은 의총 자체에 반대하면서, 관행적인 '당론 투표'에 따르지 않겠다는 생각까지 감추지 않고 있다.
양쪽의 뜻은 이해하기 쉽다. 이명박 대통령과 보조를 맞춰야 할 주류 측은 야당 반대 이전에 최대 걸림돌로 떠오른 비주류의 집단적 반대 의사를 쪼개거나 완화하지 않고서는 한 걸음도 앞으로 나아가기 어렵다. 이런 가운데 박근혜 전 대표가 표면상 명분에 기운 것으로 비치고 있는 만큼 당론 변경이라는 새로운 명분처럼 유효한 압박책이 없다. 반면 주류 측의 이런 뜻을 모를 리 없는 비주류 측은 당론 변경을 위한 의총에 본능적 거부감을 보이며 '개별 투표'배수진을 치고 있다.
싸움의 주도권은 일단 수적으로 우세한 주류 측이 쥐었다. 당헌ㆍ당규에 따른 의총 소집 요구에 비주류 측이 언제까지고 반대할 수는 없다. 명분도 마땅찮고, 세력으로도 밀린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분위기로 보아 의총에서의 '당론 변경'은 '강행 처리' 절차에 따를 가능성이 크다. 그 후속 파장은 결코 감당하기 쉽지 않다. 비주류 측에 '개별 투표'의 명분을 주어서는 공들인 '당론 변경'이 헛일이지만 그렇다고 강경한 표 단속이나 사후 징계 엄포는 사실상의 분당 상황을 상정하지 않고서는 힘들다. 주류 일각에서는 이 기회에 두 살림을 청산하자는 소리도 나오지만, 그 이후 완전 마비에 빠질 국회 상황을 고려하면 함부로 거론하기 어렵다. 세종시가 결코 국정의 전부일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주류 측의 주도권에도 적잖은 제약이 따른다.
세종시 수정안 논란은 찬반 이외의 마땅한 절충점을 찾기 어렵다. 그런 특징은 여야 대결이나 사회적 논란과 마찬가지로 여당 내의 이견에서도 그대로 드러나고 있다. 절충점이나 퇴로가 없으니 사생결단식 대결뿐이다. 정치 담판은 바로 이런 문제 해결에 유용하다.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의 담판이라면 더할 나위 없이 좋고, 지금이라도 결코 늦지 않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