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연휴 직후부터 세종시 문제를 둘러싸고 한나라당 친이계와 친박계, 야권 간의 삼각 갈등이 본격화할 조짐이다. 한나라당 친이계 등 여권 주류는 세종시 수정안의 당론 채택 작업을 본격화할 태세이지만 친박계는 당론 채택 저지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여여 갈등이 진행되는 가운데 민주당 등 야권은 세종시 수정안 추진 과정의 의혹에 대한 국회 국정조사요구서를 16일 제출키로 했다.
여당 내 친이계와 친박계는 당장 세종시 당론 채택 문제를 놓고 다시 격돌하고 있다. 친이계 일부가세종시 논의를 위한 의원총회 소집을 요구하고 나서자 친박계가 강력 반발하고 있다. 친이계 정두언 정태근 의원 등은 15일 "세종시 논의를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며 이르면 16일 의총 소집요구서를 제출하겠다고 밝혔다.
소장 중립파인 남경필 당 인재영입위원장도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조만간 의총을 소집해 당내 토론에 들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한나라당 당헌은 재적의원 10분의1 이상(17명)의 요구가 있으면 의총을 소집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안상수 원내대표는 당초 3월 초 세종시 수정안 관련법이 국회에 제출된 뒤 당내 공식 토론을 개시한다는 방침이었지만 "요건을 갖춰 소집요구서를 제출하면 의총을 열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친박계는 세종시 당론 변경을 위한 의총 소집에 강력 반발하고 있다. 친박계 핵심인 유정복 의원은 "의총을 소집하면 당내 분란만 일으킬 것"이라고 비판했다. 친박계인 송광호 최고위원도 "결론을 내릴 수도 없는데 의총을 소집하면 당이 정말 어려워 질 것"이라고 말했다.
친이계 의원 모임인 '함께 내일로'는 16일 워크숍을 개최하고, 친박계 모임인 '여의포럼'은 23일 회동을 갖는 등 양 계파가 각각 세종시 대책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져 긴장감도 커지고 있다.
특히 내달 초 세종시 개정안이 국회에 제출되면 여당 내부 갈등은 최고조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등 야당도 설 연휴 이후 세종시 수정안 포기를 위한 대여 투쟁을 강화할 방침이다. 민주당과 자유선진당,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등 야4당과 창조한국당 유원일, 무소속 유성엽 의원 등 113명은 국무총리 정략적 임명 의혹, 세종시 유치 기업을 둘러싼 정경유착 의혹, 세종시 수정안 추진 집회 군중동원 의혹 등을 규명하기 위한 국정조사 요구서를 국회에 제출하기로 했다.
야당은 또 한때 보류했던 정운찬 총리 해임건의안 추진도 여전히 검토하고 있다. 민주당 우상호 대변인은 "세종시 수정안이 국회로 넘어올 것에 대비해 총리 해임건의안 발의도 준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녹용 기자 ltree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