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대학 입학처장들은 정부의 입학사정관제 속도론을 경계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당장 조기 성과를 얻겠다는 조급증은 득보다 실이 많다는 경고다. 입학처장들은 그러면서 '사회적 합의 및 공감대 형성' '납득할 만한 평가 기준 정착' 등을 보완 방안으로 제시했다.
김윤제 성균관대 입학처장은 "입학사정관제가 정착하려면 사회적 합의 및 공감대 형성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학생 및 학부모를 비롯한 국민의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신뢰가 무엇보다 중요하고, 입학사정관제 전형이 우수 인재 선발로 가는 길목이라는 사회적 인식 변화가 동반돼야 한다는 의미다.
서울 지역 한 사립대의 입학 담당자는 "성적이 낮은 지원자가 성적이 높은 학생을 제치고 합격한 것을 두고 부정으로 인식하는 학부모가 많은 게 사실"이라며 "평가 기준에 대한 이의 제기가 없어야 공정성 논란이 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양성관 건국대 입학사정관실장은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부분을 개선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양 실장은 "대학 입장에선 중시하는 전형 요소를 최대한 압축해 성적과 함께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방향으로 가는 게 맞다"고 지적했다.
이욱연 서강대 입학처장은 "평가 기간이 너무 짧아 전형에 애로가 많다"며 "입학사정관제를 제대로 하려면 1학기 때 지원받는 방법도 고려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그는 입학사정관제 전형 결과를 제대로 평가하려면 최소한 3, 4년 정도 걸리는 점을 감안하면 운영에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강제상 경희대 입학처장은 "입학사정관제가 공교육 강화라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려면 개인 역량의 주관적 평가에 인색한 사회 풍토가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박철현 기자 karam@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