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 경제가 금융 위기를 극복하는 데 가장 큰 효자 역할을 한 중국 수출이 올해는 후폭풍을 부를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중국 정부가 긴축 정책을 강화할 경우 너무 커진 중국의 비중이 오히려 우리 경제의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27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수출 가운데 중국이 차지한 비중은 23.9%였다. 이는 2008년의 21.7%보다 2.2%포인트 높아진 것으로 사상 최고이다. 수출품 4개중 1개는 중국으로 간 셈이다. 반면 미국과 유럽연합(EU), 일본 등 대 선진국 수출은 모두 전년 대비 20% 안팎으로 감소하며,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줄었다.
이처럼 중국 비중이 커진 것은 중국 정부가 평판TV와 휴대폰, 소형차 등을 구입할 때 보조금을 지급하는 경기 부양책인 가전하향 및 환구이신 정책을 편 것이 가장 큰 요인이다. 실제로 지난해 우리나라의 전체 수출은 13.8% 감소했지만 대중 수출 가운데 액정디바이스는 81.5%, 자동차 부품은 33%나 증가했다.
이러한 흐름은 1월에도 이어지고 있다. 무역업계에선 1월 우리나라 수출이 중국 효과와 기저 효과가 겹치며 전년 동기 대비 45% 이상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앞으로가 문제다. 중국이 긴축 정책을 본격화할 경우 더 이상 중국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어질 뿐 아니라 너무 커진 중국 비중이 오히려 역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기 때문이다. 강명수 지식경제부 수출입과장은 “사실 지난해는 중국이 우리 경제를 먹여 살렸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중국 효과가 컸다”며 “그러나 중국이 긴축에 들어가면 너무 커진 중국 의존도가 오히려 부담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가장 큰 수출 시장인 중국의 경기가 위축되면 전체 수출에도 부정적 영향을 피할 수 없다는 얘기다.
더군다나 중국과 함께 미국도 긴축 정책에 나서면 결국 우리나라도 출구 전략을 도입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점도 업계의 우려다. 이 경우 대기업보다는 오히려 중소기업들이 더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 관계자는 “중소기업 대출에 대한 1년간 만기 연장이 시작된 것이 지난해 2월이었다”며 “결국 다음달부터는 만기가 돌아올 중소기업들이 잇따를 것이란 점에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일근 기자 ikpar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