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초중고교 운동 선수들의 학업 성적과 스포츠 봉사활동을 대학 입시에 반영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학생 선수들이 운동과 학업을 병행할 수 있게 하자는 취지로 이해되지만, 일선 대학의 체육 특기자 전형 과정에 수능 성적과 내신이 거의 반영되지 않는 현실을 고려할 때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8일 교육과학기술부가 발표한 '공부하는 학생 선수 지원 사업 계획'에 따르면 올해 전국 12개 초중고교를 시범학교로 지정해 학습 보조 인턴교사와 스포츠 과학 자문단을 투입하고, 스포츠 용품과 기구, 영상 분석 장비를 지원하는 등 체계적인 학교 운동부 모델을 개발키로 했다.
선정된 학교는 서울의 경우 거여초, 보인중, 상문고, 경기 지역은 성호초, 오산중, 오산고, 충남의 성거초, 천안중, 천안제일고(이상 축구), 부산의 명진초, 금명중, 중앙고(이상 농구) 등으로 2012년까지 연간 학교당 1억원씩 총 36억원이 지원된다.
또 입학사정관제를 통해 경기 실적 외에 학업 성적과 스포츠 봉사활동을 대입에 반영하고, 고교-대학간 협약 체결을 통해 공부하는 학생 선수를 우선 선발토록 하는 방안을 한국대학교육협의회와 협의하기로 했다.
교과부의 이같은 방안은 학생 선수들의 학력 저하 문제가 제대로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교과부의 2006년 조사 결과, 중학교 학생 선수 75%, 고교 선수 97.8%의 교과성적이 하위 20% 이내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부 관계자는 "대회 출전으로 인한 수업 결손이 잦지만 보충 수업도 형식적으로 진행되거나 아예 실시되지 않는 경우도 흔하다"고 설명했다. 승부에 집착한 나머지 지나친 과열 경쟁 구도가 유지되고 있고, 공부와 운동을 병행할 경우 경기력이 저하된다는 선수들의 인식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그러나 이같은 방안에 대해 일선 체육계에선 "학생 운동 선수들의 대입 특기자 전형 방식 자체가 바뀌지 않는 한 효과를 거두기 힘들다"는 비판이 많다.
체육계의 한 관계자는 "선수들이 공부를 병행해야 한다는 원칙에는 공감하지만 전국대회 혹은 지역별 리그의 성적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입시 제도에선 학생 선수들이 공부에 신경쓰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특히 정부가 체육 특기생 입시에도 수능을 반영토록 하고 있으나, 이를 수용하는 대학은 거의 없는 현실을 감안하지 않은 발상이라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한준규 기자 manbo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