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한국전쟁 발발 60주년이 되는 해다. 한국전쟁은 내전인 동시에 국제전이었다. 그러나 그간 한국전쟁을 해석할 때 '국제'의 범위는 전쟁의 직간접 당사자인 미국 소련 중국, 그리고 미국의 병참기지 역할을 했던 일본 정도에 국한됐다. <한국전쟁에 대한 11가지 시선> (역사비평사 발행)은 한국전쟁의 국제전으로서의 성격 규명을 유럽으로까지 확장한다. 한국전쟁에 민감할 수밖에 없었던 독일은 물론 프랑스, 폴란드, 헝가리 등에 한국전쟁이 미친 영향을 두루 살핀다. 진보 성향의 역사문제연구소와 1996년 설립된 독일 포츠담현대사연구센터가 2005년 10월 포츠담에서 한국전쟁을 주제로 공동 개최한 학술회의를 토대로, 이후의 연구성과를 보충해 책으로 묶었다. 한국과 독일 학자 11명의 글이 실렸다. 한국전쟁에>
재무장이냐 평화주의냐, 독일의 경우
제2차 세계대전의 결과로 분단된 동ㆍ서독에게 한국전쟁은 결코 남의 일이 아니었다. 한국전쟁의 발발은 두 독일에 공히 '제2의 한국 사태가 올 것인가'라는 공포를 안겼다. 그러나 각각의 정권과 주민들에게 그 두려움은 상이한 결과를 낳았다.
미카엘 렘케 훔볼트대 교수는 '일어나지 않은 전쟁'이라는 글에서 한국전쟁의 발발이 동서독 정권 양쪽에 '체제분쟁의 무력적 해결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높여주었음을 지적한다. 동독 지도부에게 한국전쟁은 무장 강화에 대한 교훈이 됐고 국민들에게 미국과 서독을 제국주의와 그 꼭두각시로 선전하며 전쟁 공포를 확산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됐다. 서독의 아데나워 총리도 유엔 측에 "(동독) 인민경찰의 불시 공격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힘을 구축하게 해달라"고 요구하는 등 '안보 노선'을 천명했다.
그러나 동서독 주민 대다수에게 한국전쟁은 오히려 평화주의적ㆍ인도주의적ㆍ민족주의적 정서를 강화하는 계기가 됐다. 렘케 교수는 특히 전쟁 기간 중 동독 주민들이 보여준 북한 주민을 돕기 위한 기부운동의 열기에 주목한다. 다른 관제 행사들과 달리 1951~53년 동독에서 열린 한국 관련 집회는 너무 붐벼서 재집회를 했을 정도라는 것. 또 서독 주민들에게 한국전쟁은 반공주의보다는 민족주의 정서를 강화하는 계기가 됐다고 그는 분석한다. 한국전쟁 직후 동독이 제안한 동서독 대화 제의에 서독인 49%가 찬성하고 27%만이 반대했다.
공포와 희망, 동유럽의 경우
토마스 린덴베르거 포츠담대 교수는 '서유럽과 한국전쟁'이라는 글에서 프랑스 정치의 강력한 소수파인 공산주의 진영이 한국전쟁을 계기로 평화운동의 주도세력으로 떠오른 점을 주목했다. 반미 성향의 프랑스 공산당은 1947년께부터 원자폭탄 반대투쟁 등을 주도하며 사회주의진영과 중립진영의 폭넓은 지지를 얻고 있었다. 한국전쟁의 발발은 이들이 평화운동의 리더십을 확보하는 결정적 계기가 됐다. 미국 주도의 신속한 대북 진격은 프랑스 내 반미 여론을 확산시켰다는 것이다.
아르파드 폰 클리모 베를린자유대 강사와 얀 베렌즈 베를린학술센터 연구교수는 '평화투쟁과 전쟁공포'라는 글에서 개전 후 북한에 대한 지지를 강요하던 폴란드, 헝가리 정권과 오히려 미국에 대한 희망을 품게 된 주민들의 대조적인 반응을 주시했다. 한국전쟁 발발 후 양국 정부는 반미 수사학으로 점철된 공장집회, 가두시위 등을 주도했지만 주민들은 무관심했으며 오히려 미국이 공산주의 지배로부터 자신들을 해방시킬 것이라는 희망을 품기도 했다. 1951년 폴란드에서는 '폴란드-미국 동맹 만세!' 같은 구호가 발견됐는데, 이는 전쟁에 대한 공포와 해방에 대한 희망이 뒤섞인 폴란드인의 심리 상태를 보여준다고 베렌즈 교수 등은 지적한다.
이왕구 기자 fab4@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