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4일 새벽부터 제설작업에 인력과 장비를 총동원했음에도 폭설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자 현재의 폭설 대비 시스템에 근본적인 개혁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높다.
현재 서울시 등 지자체가 실시하는 대비책은 크게 제설제인 염화칼슘을 대량 살포하거나 제설단계별로 인적ㆍ물적 자원을 투입하고 대중교통을 늘리는 방안이 전부다.
실제 서울시는 이 날 오전에만 3,000여톤에 가까운 염화칼슘을 도로에 뿌렸고, 시청 직원은 물론 군 부대 인력과 민간기업의 장비까지 제설작업에 투입했다. 또 출퇴근 시간에 지하철을 집중 배차하고, 막차 운행시간도 1시간 연장하는 등 비상대책을 내놓았다. 하지만 이 같은 대책에도 출퇴근 대란이 일자 시민들 사이에서 "유사 사례가 재발할 경우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지 않느냐"는 불만이 터져 나왔다.
재난 전문가들은 염화칼슘을 충분히 확보하고 대중교통 투입량을 늘린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주요 시설물이나 지형에 따른 맞춤형 대책은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한양대 건설교통공학부 이태식 교수는 "강남에는 경사진 언덕길이 많아 짧은 시간에 집중적으로 눈이 내릴 경우 교통대란을 피할 수 없고, 노후주택이 많은 일부 지역도 상대적으로 피해가 커질 수 있다"며 "주요 구조물과 교량, 언덕길, 노후시설 등은 집중 관리지역으로 분류해 보다 신속하게 대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최근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폭우나 폭설, 황사 등의 이상 기후가 국지적, 집중적으로 변화한 것에 대비해 국내 재난방지 대책도 획기적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예를 들어 폭설에 대비해 지역마다 염화칼슘만 준비해 놓는 식의 기존 방식이 아니라 시ㆍ군ㆍ구별로 재난 담당 전담반을 구성해 집중적이고 전문화한 인력과 장비를 갖추는 새로운 재난 대응 매뉴얼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 국내의 뛰어난 통신서비스 망을 활용해 천재지변이 터졌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을 시에는 신속하게 정보를 알려주는 시스템도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밖에 중국, 일본 등 인접국과 기상 정보를 공유해 기상 예보의 정확도도 높여야 한다.
이재은 충북대 위기관리연구소장은 "현재의 위기관리 매뉴얼은 주로 적설량에 따른 단계별 대응이 주를 이루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며 "어느 지역에 눈이 오면 길이 막힐 것이라는 식으로 도로 폭과 경사도 등을 감안한 구체적인 지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강철원 기자 stron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