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세기 동안 미군의 전용사격장이었던 경기 화성시 우정면 매향리 갯벌에 불발탄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갯벌에 불발탄이 얼마나 있는지 조사 한 번 이뤄진 적이 없어 불발탄 규모와 제거 주체, 제거 방법 등을 놓고 또 한 번 파장이 일 전망이다.
28일 경기 수원시 경기개발연구원에서 경기도 주최로 열린 '매향리 갯벌 활용을 위한 워크숍'에서 국방부 관계자는 매향리사격장 내 농섬과 곡섬 주변 갯벌에 불발탄으로 인한 위험성이 상존한다고 시인했다.
매향리 갯벌에 불발탄이 남아 있는 것은 2005년 8월 15일 불발탄 탐지나 제거 없이 사격장이 폐쇄됐고, 2007년 5월 말 미군이 그대로 국방부에 반환했기 때문이다.
국방부에 따르면 공군 폭발물처리반이 2007년 6월 실태조사 시 갯벌 지하에서 불발탄 존재 가능성을 확인했고, 앞서 2006년 8월 초 반환절차 이행을 위한 환경조사 과정에서는 불발탄이 자연발화해 환경부가 안전을 위해 조사중단을 요청한 적도 있다. 과거 매향리사격장 근무자들 사이에서도 "농섬과 갯벌 아래 불발탄이 있다"는 증언이 나오고 있다.
특히 2008년 2월부터 2011년 말까지 진행되는 환경오염정화사업에서도 갯벌은 대상에서 제외됐다. 경기도 관계자는 "과거 사격장에서 어떤 포탄을 썼는지, 양은 얼마나 되는지 등에 대한 기록이 전혀 없다"며 "불발탄 등이 깨끗하게 정리된 뒤 반환되지 않은 것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매향리 사격장은 1951년부터 한국군과 유엔군이 사용하다 55년 2월 미군에 공여됐다. 총 면적 2,322만여㎡ 가운데 농섬과 곡섬을 포함한 육지가 95만여㎡이고, 나머지는 바다다.
민원에 의해 육지 기총사격장은 1998년 먼저 폐쇄됐고, 해상 사격장은 2005년 폐쇄 전까지 사격이 계속됐다. 해상지역 중에서도 사격이 집중됐던 농섬과 곡섬 주변 갯벌 면적은 국방부 추산으로 147만여㎡나 된다.
국방부는 매향리 갯벌 복원에 대해 국내외 불발탄 탐지 및 제거 기술과 유사사례를 분석한 뒤 생태계 파괴를 최소화하는 범위에서 제거 방안을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농섬을 포함해 육지의 잔재물을 우선 제거하고, 갯벌에서는 경기도와 화성시 등 관계기관간 합의를 통해 불발탄을 찾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했다.
김창훈 기자 chkim@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