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함께 어느덧 세계경제를 양분하게 된, 그래서 'G2'(세계 2대 대국)로까지 불리게 된 중국.
사실 교역규모로 보나 경제적 파급도로 보나, 우리나라 입장에선 미국의 출구전략보다 중국의 출구전략이 더 관심사이고, 파장도 클 수 밖에 없다.
내년도 중국경제의 관전포인트는 ▦언제쯤 출구전략을 쓸 것인가 ▦또 과연 버블이 터질 것인지 아니면 연착륙할 것인지 이다.
이와 관련, 삼성경제연구소는 22일 '중국 자산가격과 현황'보고서를 통해 중국이 내년 중반에 기준금리 인상 등 본격적인 출구전략을 실시할 것이며, 하지만 이로 인해 주식 부동산 등 자산가격이 폭락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구소는 "중국의 지속적인 고도성장과 통화량 급증으로 물가상승 압력이 커지고 있다"면서 "내년 6월 전후에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선에 근접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리고 과거 중국정부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5~3.0% 수준일 때 긴축정책을 실시한 전례로 볼 때 "물가상승률이 3%를 넘어서는 내년 중반에 기준금리 인상 등 본격적인 출구전략을 실행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문제는 중국 정부가 긴축정책으로 돌아섰을 때 올해 급등한 자산가격의 거품이 빠질 것인지 여부. 올해 중국의 주식시장은 지난해 저점 대비 109%까지 올랐고, 7월 중국 부동산가격지수는 겨우 한 달 만에 10.2%나 급등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중국의 평균 소득 대비 주택가격은 8배, 대도시는 14배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때문에 최근 중국의 자산시장, 특히 부동산 시장 버블 붕괴를 경고하는 전문가들이 늘고 있으며 앤디 시에 전 모건스탠리 아시아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처럼 2011년 중국 부동산 시장의 버블이 꺼질 것"이라고 여러 차례 경고한 바 있다.
하지만 삼성연구소는 내년 중국 정부가 출구전략을 시작하면 자산가격이 조정은 받겠지만 폭락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중국은 가계부채 규모가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12%로 매우 낮은 수준이고, 가처분소득에서 주택 대출금 상환과 이자지급에 쓰이는 금액의 비중도 2% 정도로 높지 않아 금리가 올라가도 영향이 심각하지 않다는 것. 특히 중국은 고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돼 소득도 꾸준히 증가할 전망이다.
엄정명 수석연구원은 "가계부채가 많지 않으므로 자산가격이 조정을 받더라도 소비 위축 같은 악영향이 덜할 것"이라면서 "일본과 미국의 거품 붕괴와 같이 구조적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은 낮다"고 진단했다.
다만 "단기 급등한 자산가격이 일시적으로 조정 받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해서는 대비가 필요하다"면서 "특히 중국에 진출한 기업이나 금융기관들은 사업 리스크가 커질 수 있으므로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최진주 기자 pariscom@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