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살, 3살 남매를 둔 주부 조현윤(34ㆍ서울 상계동)씨.
쇠고기를 살 때마다 대형마트에 설치된 컴퓨터에서 일일이 개체식별번호를 입력해 이력을 확인한다. 원산지가 어디인지, 한우ㆍ육우 등 식육 종류와 부위는 제대로 기재가 돼 있는지, 등급 표시는 정확한지 등.
조씨는 "이전에는 어쩐지 속고 사는 것 같은 불안감이 있었는데, 이력추적제가 실시된 이후 좀 번거러워도 한층 신뢰가 생겼다"고 말했다.
지난해 광우병 사태는 우리의 식탁 안전에 획기적인 변화를 불러왔다. 각종 위험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던 식탁은 쇠고기 이력추적제, 음식점 원산지표시제 도입과 각종 인증제 활성화 등으로 점차 '안전 지대'로 바뀌고 있다는 평가다.
이력추적제 및 원산지표시제 성과
쇠고기 이력추적제는 22일로 도입한 지 꼭 6개월이 됐다. 짧은 시간이었지만, 상당한 변화가 있었다. "이젠 믿고 살 수 있다"는 신뢰가 쌓이면서 한우ㆍ호주산 등을 중심으로 전체 쇠고기 판매량이 꽤 늘었다. 이마트의 경우 올 하반기 쇠고기 전체 판매량이 작년 동기 대비 10% 이상 증가했다.
물론, 조씨처럼 컴퓨터나 휴대폰을 통해 일일이 이력을 확인해가며 쇠고기를 구입하는 소비자가 그다지 많지는 않다. 홍성진 이마트 축산 바이어(대리)는 "상당수 점포에 이력확인을 할 수 있는 컴퓨터가 설치돼 있지만 실제 활용하는 고객은 2~3%에 불과하다"며 "이제는 믿고 먹을 수 있는 신뢰가 높아진 것이 가장 달라진 점"이라고 했다.
작년 7월부터 본격 시행된 음식점 원산지 표시제는 식당 음식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신도 상당 부분 걷어냈다는 평가다. 회사원 최성준(40ㆍ서울 성수동)씨는 원산지 표시제가 시행된 이후 가족들과 함께 고깃집을 자주 찾는다.
그렇다고 최씨가 한우 전문점만 찾는 건 아니고 미국산 고기를 파는 고깃집도 꺼려하질 않는다. 최씨는 "한우라고는 하는데 이게 미국산인지 호주산인지, 또 육우인지 모른 채 비싼 돈을 내고 먹는다는 게 부담이 됐다"며 "미국산 쇠고기라는 걸 알고 합당한 가격에 먹을 수 있다면 그다지 문제가 될 것이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수입육을 한우라고 속여 팔던 음식점들이야 설 자리를 잃었지만, 제대로 된 고기를 파는 음식점들 또한 제도 도입의 수혜를 입고 있다.
각종 인증제 활성화
KS마크 등 국가 인증은 공산품에만 있겠거니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국가인증이 더욱 위력을 발휘하는 건 농축수산물이나 가공식품 등 식품 분야다.
정부 관계자는 "정형화된 공산품에 비해서 겉으로 봐서 품질 파악이 훨씬 더 어려운 식품 분야에 대해 국가인증이 더욱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대표적인 것이 농산물우수관리제도(GAP). 재배단계에서부터 수확 및 유통단계까지 농약을 비롯한 각종 위해 물질을 관리한 안전한 농산물에 대해 인증을 해주는 제도다.
정부는 최근 당초 105개 품목으로 한정돼 있던 GAP 인증제를 국내에서 생산되는 모든 농산물로 확대 적용하기로 했다.
비슷한 취지로 국내산 축산물에 적용되는 위해요소중점관리(HACCP) 제도 역시 심사인력 확대 등의 방식으로 더욱 활성화한다는 게 정부 방침이며, 내년부터는 수입 쇠고기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즉각 추적이 가능하도록 '수입쇠고기 유통이력관리시스템'을 본격 가동할 예정이다.
박병홍 농림수산식품부 소비안전정책과장은 "음식점 원산지표시제의 경우 일본이나 유럽 등 선진국으로부터 벤치마킹 대상이 되고 있을 정도"라며 "적어도 제도적인 측면에서 우리나라 식품의 안전성은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봐도 무방하다"고 말했다.
이영태 기자 yt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