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날인 18일 윤곽이 드러난 공동성명 초안을 보면 이번 코펜하겐 회의에서의 합의는 선진국과 개도국 그룹이 팽팽히 맞서는 쟁점을 피한, 그야말로 '포괄적인'수준이 될 것임을 알 수 있다.
AP통신은 "선진국들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끌어올리고, 개도국이 요구하는 수천억 달러의 지원기금 조성을 목표로 한 합의안이 가능할 수도 있지만 이를 법적으로 구속하는 형태는 어렵다"고 보도했다.
합의의 수준에 따라 그 명칭이 달라질 수 있는 합의안 혹은 공동성명에는 지구 평균기온 상승치를 산업화 이전 대비 2도 내외로 묶는 초안 내용이 그대로 담길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선진국들이 밝힌 2020년까지 온실가스 감축 약속을 종합하고, 2050년까지 모든 국가가 이뤄야 할 감축 목표치가 제시될 수 있다. 이런 내용은 그 두루뭉실한 성격 때문에 대부분의 총회 참여국가가 동의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정도 수준의 합의안은 빈손으로 돌아갈 수 없는 정상들이 막판에 급조한 것에 불과하며 특히 개도국의 요구사항을 실질적으로 담아내지 못했다는 비판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개도국 모임인 G77의 대표인 수단의 루뭄바 다핑은 "합의안에 담길 내용은 너무나 약하다. 전혀 열망적이지 못하다"고 논평했다.
한편, 영 일간 파이낸셜타임스는 18일자에서 코펜하겐에서 도출될 수 있는 합의를 두 가지 형태로 예상했다.
이에 따르면 첫 번째'강한'수준의 합의가 이뤄진다면 우선 미국과 선진국들이 이미 밝힌 감축안을 강화하고, 유럽연합도 '30% 감축'으로 한 걸음 더 나아가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더불어 중국 등 개도국이 선진국의 지원을 받기에 앞서 감축 약속 이행에 대한 국제사회의 조사를 받아들인다는 조항도 강한 합의의 요소다.
두 번째 형태인 '약한'수준의 합의는 이와 달리 선진국과 개도국 모두 이전의 감축안에서 더 나아가지 않으며, 개도국의 감축 이행 평가도 강하게 요구하지 않는 선에 머물게 된다.
두번째의 경우, 교토의정서를 대체할 법적 구속력 있는 새로운 기후변화협약의 도출을 위해선 내년 11월 멕시코시티에서 열리는 차기 총회까지 기다릴 수 밖에 없다. 이번 총회에서 합의가 있다고 해도 두 번째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보여 그 성과는 제한적이다.
양홍주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