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에게 더 많은 자율권을 부여해줘라."
전문가들이 진단한 자유전공학부 개선방안이다. 학문간 경계를 허물고 자유롭게 공부할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를 잘 살리는 것이 관건이라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자유전공학부의 문제가 기존 법대나 약대에 쏠렸던 우수인력을 유치하기 위해 만들어졌다는 데 있다고 지적한다.
대학교육협의회 관계자는 "로스쿨 등 전문대학원의 신규 개설로 부족해진 학부인원을 충원하려다 보니 이들을 위한 커리큘럼도 법학이나 고시 위주로 꾸려진 것 같다"며 "하지만 자유전공은 그야말로 학생들에게 다양한 기회를 줄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자유전공학부를 운영 중인 한 사립대 교수는 "학생들이 점수가 아닌 적성에 맞게 스스로 전공을 찾아야 한다는 데에는 이견이 없다"며 "하지만 막상 자유전공학부로 들어오면 전공필수, 전공선택 등 들어야 하는 과목이 많다"고 지적했다.
그는 "학생들끼리 수업을 구성할 수도 있고, 교수에게 스스럼없이 다가와 토론도 하는 게 제대로 된 교육이니만큼 그런 가능성을 충분히 열어줄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학문 간 경계를 넘나드는 통섭교육도 중요한 해결방안이다. 신현석 고려대 교육학과 교수는 "자유전공학부가 성공적으로 가려면 학생과 교수가 1 대 1로 붙어 전문교육을 하는 방법과 세부전공으로 나눠 통섭 학문 영역을 설정해 준 후 그 안에서 학생들이 전공조합을 통해 제3의 전공을 만드는 법이 있을 수 있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장기적으로 자유전공학부가 성공하려면 고등학교 교육환경의 개선, 즉 구조적 문제를 함께 풀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범 교육평론가는 "고등학교 때까지 학생들은 문과ㆍ이과 정도만 선택하지 사실상 스스로 할 수 있는 공부는 없다"며 "이때부터 자기 공부의 선택기회와 권한을 주는 방향으로 가야 대학에서도 두 개 이상의 전공영역을 넘나들며 통섭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강지원기자 stylo@hk.co.kr
강아름기자 saram@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