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오전 전국 시도교육감 회의가 열린 서울 세종로 정부 중앙청사 교육과학기술부 회의실. 신종플루 대응과 코앞에 닥친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공정한 관리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다. 하지만 김상곤 경기도교육감의 모습은 보이지 않았다.
교육계 현안을 논의하기 위한 회의에 참석하지 않은 이유가 궁금했다. 김 교육감의 한 측근은 "교과부 장관 얼굴을 보기가 그렇고, 언론의 시선도 부담스럽다고 판단했다"며 의외로 솔직한 대답을 내놓았다. 불가피한 일정 때문이 아니라, 일부러 불참했다는 얘기다.
어떻게 생각하면 이해할 법도 하다. 바로 전날 시국선언 전국교직원노조 교사 징계를 거부한 자신에게 교과부가 직무이행명령을 내린 상황에서 그 자리에 참석해봐야 분위기만 썰렁하고 불편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럴수록 그 자리에는 참석했어야 옳았다. 부교육감을 대신 보내기보다 직접 교육 현안에 대해 의사를 밝히고 설득할 일이 있으면 설득하고 공감대를 넓혔어야 했다. 교육 소신과 정책 방향이 다르다면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고 그 차이를 줄일 수 있는 기회도 될 수 있지 않은가.
곧 취임 6개월을 맞는 김 교육감은 정부 입장에선 '시한폭탄'으로 여겨진다. 현 정부와 교육 정책방향이나 색깔과 너무 다른 탓이다. 때문에 교육부와 교육감이 다른 목소리를 내는 것까지는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혼선과 갈등이 지나치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학생들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다. 김 교육감의 임기는 내년 6월까지이다.
그때까지 김 교육감은 교과부와 늘 파열음만 낼 것 인가. 그것이 김 교육감을 선택한 경기도민들의 뜻이고 경기지역 10만 교직원, 200만 학생들의 바람이라고 믿는가. 전교조 문제나 교육청 권한 보호 외에도 수능이나 신종플루, 외국어고 존폐 등 다른 중요한 교육 현안에도 적극적인 관심을 갖고 활동하는 교육감을 보고 싶은 사람들도 적지 않다.
강주형 정책사회부기자 cubi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