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폴 크루그먼 프린스턴대 교수가 "한국 경제의 조기 회복론은 시기상조"라고 주장했다.
크루그먼 교수는 14일 서울 워커힐 호텔에서 열린 '제10회 세계지식포럼'에서 "한국 경제가 빠르게 회복할 것이라고 판단하기에는 시기상조다. 회복세가 둔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이날 크루그먼 교수를 비롯, 포럼에 참석한 경제 전문가들은 최근 세계 경제의 회복에도 불구하고 그 바탕은 취약하며 '더블딥(경기 상승 후 재하강)' 위험도 상존한다는 비관론을 내놓았다. 그러나 미래 세계경제의 동력이 선진국보다 아시아에 있을 것이라는 데는 의견을 같이 했다.
크루그먼 교수는 이날 "올해 한국의 경제 회복은 많은 부분 국제 교역의 회복에 의존했는데 이러한 회복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라면서 "한국 경제는 지난해의 급격한 추락과 올해의 급격한 회복 모두 재고조정 효과 때문에 과장된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크루그먼 교수는 세계 경제에 대해서도 내년에 '더블딥(경기 회복과정에서 다시 침체에 빠지는 현상)'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현재 예상대로라면 내년에 완만한 더블딥이 올 수 있지만, 상황에 따라 단순 경기둔화에 멈출 수도 있고 더 심각한 더블딥도 가능하다"면서 세계 각국이 출구전략을 단행하는 시기를 상당기간 연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의 경우 실업률이 7% 수준으로 떨어질 때까지 적어도 2년간 0%대 금리를 유지하는 등 세계적으로 수년 간 통화확장 정책이 지속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출구전략의 국제 공조에 대해서는 "다른 나라에 대한 파급효과를 고려해야 한다"면서 "최근 호주의 금리 인상은 놀라운 일"이었다고 평가했다
세계적 이코노미스트이자 비관론자인 스티븐 로치 모건스탠리 아시아 회장도 '더블딥' 가능성을 제시하며 비관론을 이어갔다. 그는 "경기침체가 깊으면 깊을수록 회복도 급속도로 된다는 이른바 '고무줄 이론'이 있지만 불행히도 이번에는 적용이 안 된다"면서 그 이유로 글로벌 수요 위축을 주된 이유로 들었다.
로치 회장은 "미국의 GDP에서 소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72.12%인데, 앞으로 5%정도 떨어질 것 같다"면서 "중국이든 어디든 단기간 그 소비를 대체할 수 있는 나라는 없다"고 말했다. 그는 "중국이 대출을 늘려 공급, 투자 쪽으로 경기부양을 하고 있지만 세계 소비가 줄어들면 한계에 봉착할 수 있고, 이 경우 한국도 중국 의존도가 높으므로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경고했다.
'상품투자의 귀재'로 불리는 짐 로저스 로저스홀딩스 회장 역시 세계 경제의 회복 가능성에 대해서는 회의적이지만, 아시아와 상품 시장에 대해서는 큰 기대를 표명했다. 그는 "현재 세계 경제가 좋아지고 있다고 하지만 그것은 지난해가 워낙 안 좋았기 때문"이라고 평가 절하하고, "정부들이 돈을 많이 풀었는데 이건 다 빚이므로 2011년이 되면 문제로 드러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나 로저스 회장은 "현재 세계는 역사적인 대이동기"라면서 "19세기는 영국 20세기는 미국의 시대였다면 21세기는 아시아의 시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현재 세계에서 펀더멘털이 개선되고 있는 유일한 투자처는 곡물과 광업 등 상품 시장"이라고 말했다.
미국내 최고 이코노미스트로 꼽히는 손성원 캘리포니아대학 석좌교수는 세계경제의 회복세에 대해서는 의구심을 표명했지만, 중국에 대해 기대를 거는 모습이었다. 그는 "세계경제가 바닥을 쳤다라는 많은 증거가 나오고 있지만 경기부양책 덕분이며 여전히 취약하다"고 지적했지만, "중국은 금융권의 부채비율이 좀 있긴 하지만 세계경제를 끌고 갈 견인차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최진주 기자 pariscom@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