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북핵 6자회담에 조건부 복귀 의사를 밝혔다. 그는 그제 원자바오 중국 총리와의 회담에서 "북미회담 상황을 지켜보며 6자회담을 포함한 다자회담을 진행하길 원한다"고 말했다. 지난달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 특사 자격으로 방북한 다이빙궈 국무위원에게 6자회담에 대한 구체적 언급 없이 양자 및 다자회담 참여 의사만 밝힌 데 비하면 큰 진전이다. 이 달 하순께로 예상되는 스티븐 보즈워스 미국 대북정책 특별대표의 방북과 북미 양자회담 결과에 따라서는 6자회담 재개에 이어 북핵 논의가 급물살을 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물론 김 위원장이 조건을 내건 점은 개운치 않다. 북한에 대해 영향력이 큰 중국의 체면을 세워주고, 국제사회의 제재 압박을 회피하면서 시간을 벌려는 의도라는 의심도 나올 만하다. 그러나 6자회담은 완전히 끝났다고 공언해온 북한이 단번에 6자회담 복귀를 선언하기는 힘들었을 터이고, 명분과 모양을 갖추는 과정이 필요했다고 볼 수 있다. 김정일-원자바오 회담에서 북핵 문제의 중요한 진전이 있었다는 중국 관변언론의 보도로 미뤄 북중 간에 보다 진전된 이면합의를 이루었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어쨌든 공은 이제 북한에서 6자회담의 나머지 참가국들 쪽으로 넘어온 형국이다. 이미 북미 양자회담 개최 의사를 천명한 미국 오바마 행정부의 다음 한 수가 주목된다.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공조의 틀을 유지하면서 확실한 6자회담 복귀를 이끌어내기 위해 신중을 기하겠지만, 완착으로 모처럼 조성된 기회를 놓쳐서는 안 될 것이다. 일본 등 나머지 참가국들도 6자회담 정상화를 위해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북한이 '다자회담'이라는 표현을 버리지 않는 것은 일본 등을 제외한 3자회담이나 4자회담으로 가겠다는 경고일 수도 있다.
우리 정부 역시 분발이 요구된다. 좀더 지켜보자는 신중함도 좋지만 급변 조짐을 보이는 정세에 뒤처질 우려도 있다. 다소 허황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는 이명박 대통령의 '그랜드 바겐' 안에 실제적인 생명력을 불어넣기 위해서도 보다 적극적인 발상과 접근이 필요하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