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새벽 발생한 임진강 급류 실종사고와 관련, 군의 대응체계에도 허점이 있었던 것으로 드러나면서 군이 자체 조사에 나섰다.
7일 국방부에 따르면 휴전선 접적지역인 임진강 상류의 필승교 지역에서 보초를 서던 초병은 6일 오전 2시50분께 최초로 임진강 수위 증가 사실을 인지, 상황실에 보고했다. 이는 연대와 사단, 군단을 거쳐 합참까지 보고됐고, 오전 5시35분까지 주변 부대에도 전파됐다.
지휘 계통을 통한 보고는 이뤄졌지만 구멍은 있었다. 다른 지역에서 나와 임진강 하류에서 훈련 중이던 전차부대에는 아무런 통보가 이뤄지지 않았다. 당시 하류에는 인접 지역 사단 소속 전차 10대와 병사들이 나와 훈련 중이었고 이 부대는 오전 5시15분께 초병이 급격히 강물이 불어나는 것을 목격한 뒤에야 대피를 시작했다.
시간이 부족해 전차 1대는 피하지 못했다. 원 대변인은 "상급부대와 인접부대에 상황이 전파됐지만 훈련 중이던 전차부대는 전파과정에서 누락됐다"며 "조치가 잘못됐다"고 말했다.
군이 임진강 상류 수위 상승을 인지하고도 군이 아닌 다른 관련 기관에는 전혀 통보하지 않은 것도 문제다. 물론 임진강 곳곳에는 강물 수위에 따라 수자원공사가 관리하는 자동발령 경보시스템이 설치되어 있고 이번 사고 당시에는 시스템 자체가 작동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군이 직접적인 책임이 있다고 보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군과 민ㆍ관이 매년 통합방위체제라는 목표 아래 재난, 재해 등과 관련한 대비 태세를 연습하고 있다는 점에서 군의 대응 시스템 및 매뉴얼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상희 장관도 이날 "자동경보시스템이 고장이 날 수 있으니 육안으로 확인했으면 관련기관에 알려줬어야 할 것 아니냐"고 질타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합참 전투대비태세 검열단은 이날 해당 부대에 검열단을 파견해 이번 사고에 대한 상황 조치가 적절히 이뤄졌는지에 대한 검열에 본격 착수했다.
한편 원 대변인은 "북한의 황강댐 방류 의도를 한미 간에 긴밀히 분석하고 있지만 아직은 수공(水攻)으로 볼만한 징후는 없다"며 "물론 합참에서는 북의 수공에 대비한 계획을 수립해 놓고 있다"고 말했다.
진성훈 기자 blueji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