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새벽 발생한 임진강 급류 실종사고는 강 상류인 북한 지역의 댐 수문이 열리면서 막대한 양의 물이 방류된 데 따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북한이 대규모 수량을 담수하고 있던 황강댐의 수문을 열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북한은 왜 갑자기 황강댐 수문을 열었을까.
당국이 추정하는 대로 북한이 황강댐 수문을 열어 대규모로 물을 방류했다면 우선 기술적인 문제로 인한 방류 가능성이 제기된다.
북한이 2007년 10월부터 황강댐의 수로를 예성강으로 돌리는 유역변경식 댐으로 전환하면서 담수에 들어갔기 때문에 방류를 하려면 예성강 쪽 수문을 열었어야 했지만 기술적인 오류로 임진강 쪽 수문을 열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새벽 시간 막대한 양의 물을 내려보내면서 통보 자체가 없었다는 점에서 우발적 사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하지만 의도적인 행위일 가능성을 전혀 배제할 수는 없다는 분석도 나온다. 남측에 대한 모종의 메시지를 담고 있는 게 아니냐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고 김대중 전 대통령에 대한 북한 조문단이 최근 이명박 대통령을 예방한 자리에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메시지를 전했음에도 우리 정부가 원칙적인 입장에서 한 발짝도 물러서지 않자 남측을 압박할 의도가 있지 않느냐는 것이다. 과거 임진강 공동수해방지를 위해 남북이 협의를 벌여왔지만 현 정부 들어 협의 자체가 뚝 끊겨 버린 상황이다.
물론 남북공유하천 관리 문제는 남측이 오래 전부터 협의를 제안했고, 오히려 북측이 미온적이었다는 점에서 설득력은 크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 위원장이 최근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을 통해 금강산 피격 사건에 대한 재발 방지를 약속하는 등 남북 관계에서도 해빙 분위기가 엿보이고 있다. 의도적 도발로 보기에는 제반 상황이 무리가 따른다는 얘기다.
정부 관계자는 "북한 댐의 이상 여부는 물론 북한의 의도성 등 모든 상황을 배제하지 않고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진성훈 기자 blueji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