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때 발견됐다가 종적을 감췄던 신라 문무왕릉비의 조각이 200여년 만에 나타났다. 국립경주박물관은 "2일 경주 동부동의 한 주택에서 문무왕릉비 우측 상단부 조각(가로 40x세로 66㎝)을 확인했다"고 3일 밝혔다.
삼국통일을 이룬 신라 30대 임금 문무왕(재위 661~681년)의 치적을 기록한 이 비석이 박혀있던 곳은 가정집 마당의 수돗가였다. 수도검침원이 검침하던 중 글씨가 새겨진 돌을 발견하고 신라문화동인회에 제보한 것. 현장을 조사한 박물관 관계자는 "비편이 놓인 위치와 물기를 머금은 상태 등을 볼 때 빨래판으로 사용된 것 같다"고 말했다.
문무왕릉비는 682년 경주 사천왕사에 세워졌다. 이 비가 다시 기록에 등장한 것은 1,100년 뒤인 조선시대다. 1796년(정조 20년)에 밭을 갈다가 비석 하단부와 우측 상단부 조각이 발견됐다는 사실이 당시 경주부윤 홍양호(1724~1802)의 문집 '이계집(耳溪集)'에 나온다. 비편의 탁본은 청의 금석학자 유희해(1793~1853)에게 전해져 그가 쓴 '해동금석원(海東金石苑)'에 비문 내용이 실렸다.
이후 비편의 행방을 알 수 없었는데, 1961년 경주 동부동에서 하단부(94x60㎝)가 먼저 발견됐고, 48년 만에 같은 지역에서 상단부 조각이 나왔다. 이 지역은 조선시대 경주부 관아가 있던 곳으로, 하단부도 발견 당시 가정집 빨래판으로 쓰이고 있었다.
이번에 발견된 상단부 조각은 표면이 훼손되고 모서리 부분이 마모됐으나, 비문을 읽는 데는 어려움이 없다. 뒷면은 아직 땅 속에 박혀있어 비문의 잔존 여부를 알 수 없다. '해동금석원'에 따르면 앞면은 문무왕의 치적, 뒷면은 문무왕의 유언과 장례 철자 등을 기록하고 있다.
김지원 기자 eddi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