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한 곳이 선정될 것으로 알려졌던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지가 10일 예상과 달리 대구 신서, 충북 오송 등 복수로 선정된 데는 입지 조건과 함께 지역 안배의 정치적 고려도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두 지역이 각각의 특성에 맡게 특화를 하고 상호경쟁을 한다면 국내 의료산업 전체로 봐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겠지만, 한정된 재원과 역할 배분에 실패한다면 '집적을 통한 경쟁력 증대'라는 당초 취지를 살리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 복수선정 배경
정부가 첨단의료복합단지로 한 곳만 선정하겠다고 공식화한 적은 없지만, 비공식적으로는 집적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복수보다는 단수 선정이 바람직하다는 견해를 그 동안 피력해왔다.
그러나 정부는 이날 "단지간 생산성 제고와 브랜드 형성을 위해서는 전문화와 특화가 요구되고, 단지간 경쟁을 유도한다면 더 나은 성과를 도출할 것"이라며 복수 선정으로 최종 결론을 내렸다.
정부는 이어 "첨단의료산업에서 세계적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품목군별로 선택과 집중을 통해 특성화해야 한다"며 "지역별 경쟁우위가 있는 의료 인프라와 산업 특성을 충분히 살려 단지간 시너지 효과를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대구 신서의 경우 인근 대학 연구 인력이 풍부하고 국내외 의료연구개발기관과 공동연구 실적이 많은 반면, 충북 오송은 생명과학단지가 이미 조성돼 있고 식품의약품안전청 등 유관기관도 입주할 예정이라서 각기 특성에 맞게 전문화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 단지조성 효과 약화할 수도
그러나 연구 인프라와 인력의 분산으로, 오히려 집적 효과가 떨어져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 취지가 약화될 것이라는 지적도 많다. 투자 규모도 방대하고 투자 회수에도 장기간이 소요되는 첨단의료산업은 자본과 인력이 집적될수록 더 큰 성과를 거둘 수 있어 대표적인 '규모의 경제' 산업으로 알려져 있다. 자본과 인력의 분산 자체가 단지의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또 두 지역을 특화시켜 상생하도록 하겠다고 했지만, 국내외 기업이 어느 한 지역에 쏠린다면 양 지역의 특화는 고사하고 갈등만 증폭시킬 소지가 많다. 제약업계 한 관계자는 "유치 경쟁이 워낙 치열하다 보니 정치적인 고려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복수 선정이 사업 효과를 약화시키고 추진일정을 지연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 어떻게 조성되나
정부는 당초 단수 선정을 전제로 2012년에 단지를 완공해 본격 가동한다는 계획이었다. 이를 위해 향후 10년간 시설ㆍ운영비 1조4,000억원 등 1조8,000억원을 투자하고 이후 20년간 다시 3조8,000억원을 추가로 투자한다는 계획이었다. 총 투자비용 5조6,000억원 가운데 중앙정부가 1조9,000억원(34%), 지자체 3,000억원, 민간이 3조4,000억원을 부담한다는 구상이다.
조성될 단지는 ▲신약개발지원센터, 첨단의료기기개발 지원센터, 임상시험센터 등 핵심 인프라를 제공하는 'Core 인프라 구역' ▲국내외 기업과 대학 연구소가 입주하는 '연구기관 입주구역' ▲연구용 세포와 실험용 동물을 관리하는 '연구지원시설 구역' ▲연구원들의 주거시설 등 편의시설 구역 등 4개로 건립한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최종 선정이 복수로 결정됨에 따라 이 같은 내용의 단지 조성을 위한 투자재원 및 단지 모형 자체의 변경이 불가피하게 됐다. 국책연구기관 관계자는 "두 지역의 사업 내용을 분명히 해 예산 및 입주기업 배분에 차질이 없도록 하는 게 첨단의료복합단지 성패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유병률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