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자동차 노사 협상이 2일 결렬돼 최악의 경우 공중분해될 것이라는 위기감이 고조되면서 국가 경제에 미칠 충격파가 초미의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
재계에는 쌍용차가 파산하더라도 적어도 수치상으론 관련 업계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2008년말 현재 쌍용차의 내수시장 점유율(생산기준)이 2.1%에 그치는데다, 2월 법정관리 이후 노조측의 점거 파업이 70여일 계속되면서 협력사들도 피해를 볼만큼 봤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이는 '숫자 놀음'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쌍용차 파산 후유증을 수치로 계량화 하는 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고, 파산 이후 노동계와의 마찰이 빚어질 경우 우리 경제에 미칠 피해는 막대하기 때문이다.
쌍용차가 파산하면 직격타를 입을 곳이 바로 노동시장이다. 쌍용차 임직원 7,000여명과 쌍용차에 부품 전량을 납품하는 55개사 협력업체 임직원 4,000여명 등 1만여명의 일자리가 하루 아침에 사라질 공산이 크다.
매출의 70%이상을 쌍용차 납품에 의존하고 있는 65개 협력업체 5,300여명의 고용도 장담하기 힘들어 쌍용차 파산에 따른 실업자 수는 전체적으로 2만명을 웃돌 것으로 보인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쌍용차 및 협력업체 직원들의 대량 실직으로 가족을 포함해 직ㆍ간접적 피해 인원만 10만 명이 훨씬 넘을 것"이라고 말했다.
쌍용차를 구입한 102만여명(2008년 말)의 차량 소유주들도 정비와 수리를 제대로 받지 못해 곤란을 겪게 될 가능성이 높다. 부품 부족으로 가격이 오르면 수리비가 상승하고, 애프터서비스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 이 경우 쌍용차에 대한 고객들의 외면으로 자산가치는 더욱 폭락할 수 있다. 쌍용차 한 기업에 대한 지역 경제 의존도가 15%나 되는 평택도 경제 기반이 크게 흔들릴 게 분명해 보인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쌍용차가 파산하면)대외적으로 국내 자동차 산업 이미지 실추가 매우 클 것"이라며 "오바마 미국 행정부가 파산 위기의 GM과 크라이슬러를 살리는 데 총력을 기울인 이유를 우리 정부도 헤아릴 때가 됐다"고 말했다.
정민승 기자 msj@hk.oc.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