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화두로 꺼내든 대통합에서 초점은 친노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이후 친노에 대한 국민적 인식이 높아진 덕분이다. 이들이 대선 국면에서 배제의 대상이었다는 점을 생각해 보면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대선 당시 여권에는 정권 재창출에 대한 위기의식이 팽배했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친노를 배제하고 나머지 민주세력을 모두 합치자는 이른바 '반(反) 한나라당, 비(非) 노무현'정계 개편론이 대두됐다.
영남권 강성 친노그룹과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을 축으로 하는 참정연 세력을 빼고 열린우리당과 구민주당 전체가 제3지대에서 모이는 구상이 떠올랐고 김한길 전 원내대표가 중심이 된 23명 의원이 집단탈당하기에 이르렀다.
물론 '분열 없는 통합'을 주장한 정세균 우리당 의장의 반대로 친노 배제는 무위에 그쳤지만 간판 친노 그룹은 결국 대선 뒤 대열에서 빠졌다.
그리고 2년 만에 다시 대통합 문제가 떠올랐다. 정세균 대표는 5일 대표 취임 1주년 기자회견에서 "2012년 정권교체를 위해 제2창당에 버금가는 수준의 통합과 혁신을 추구하겠다"며 "통합을 위해 기득권을 포기하고 문호 개방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통합 논의는 노 전 대통령 49재 이후 본격적으로 진행될 전망이다.
이번 대통합 구상은 친노 복원이 핵심이다. 정 대표는 "친노를 포함해 대동단결하는 게 국민의 뜻"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배제 대상은 4ㆍ29재보선에서 '친노386'이라는 공격을 했던 정동영(무소속) 의원이다. 정 대표는 "당의 분란이 있을 수 있는 일을 들춰낼 상황이 아니다"며 정 의원 복당을 유보하고 있다.
하지만 이 구상이 실현되려면 아직 변수가 많다. 노 전 대통령 49재를 앞두고 친노 신당 창당을 통한 독자세력화가 거론되고 있고, 이해찬 전 총리나 유시민 전 장관도 민주당의 러브콜에 시큰둥한 반응이다.
반면 민주당 내 비노그룹은 친노와의 결합을 마뜩지 않아 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당내 비주류 일각에선 정 대표의 기득권 포기 언급을 근거로 대통합 과정에서의 조기전당대회를 예상하는 흐름도 있다.
박석원 기자 spar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