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등 국내 주요 인터넷 사이트 11곳이 그제 사이버 공격으로 홈페이지 접속이 불통되는 등 피해를 당했다. 해킹에 의한 각종 정보 유출과 같은 피해가 발생하지 않은 것이 그나마 다행이다. 이번 피해가 홈페이지 접속 폭주를 일으키는 해킹의 고전적 수법인 디도스(Ddosㆍ분산서비스거부) 공격에 의한 것이라니, 이러고도 우리나라가 정보기술(IT) 강국인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매년 3만 건의 해킹 범죄와 싸우며 인터넷 보안체계 강화 작업을 해온 결과가 아직도 이 정도인지 묻고 싶다. 이번 사태는 정부의 인터넷 보안 기술 및 체계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과 함께 대대적인 수술 필요성을 일깨워준다.
현재로선 누가 왜 이런 공격을 했는지 속단할 수 없다. 다만 한국과 미국의 주요 정부 기관을 골라 공격한 점, 악성코드에 '7월 7일 오후 7시 공격'암호를 숨겨놓은 점은 사이버 공격 세력의 불순한 의도가 감지되는 부분이다. 접속 폭주 공격을 가한 뒤 공격 중지를 조건으로 금품을 챙기던 과거 디도스 공격과 전혀 다른 양태를 보인 점도 사이버 공격 세력이 단순 해커는 아닐 것이라는 분석을 낳고 있다.
정부는 그동안 인터넷 보안체계 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투자를 늘려왔다. 그러나 이번 사태는 여전히 사이버 공격에 취약한 국가 전산망의 허점을 여실히 드러내고 말았다. 첨단 IT기술이 가장 먼저 실용화하는 우리나라가 국내외 해커들의 공격 대상 1호가 된 지는 오래다.
해커들은 해킹 기술을 경쟁적으로 업그레이드하며 한국을 해킹 실험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더구나 사이버 공격은 현대전의 승패를 좌우할 만큼 역할과 비중이 커졌다. 그런 현실에서 인터넷 보안 기술과 체계가 해킹 등 사이버 공격을 막아내지 못한다면 국가적으로 중대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인터넷 사용이 일상화한 시대에 완벽한 보안은 국가 사회 존속의 필수조건이다. 정부는 국가안보 차원에서 국가 전산망의 안정성 고도화에 더 힘써야 한다. 국민들도 자신의 PC가 사이버 공격의 도구로 활용되지 않도록 보안을 생활화해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