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아파트는 주거용 이외의 다른 상업적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얼마 전 서울 강남구 A아파트 단지 담벼락에 이런 내용의 플래카드가 내걸렸다. '상업적 용도'의 예로는 놀이방, 유아원이 명시돼있다.
올 초 이 아파트에 어린이집을 열려는 움직임이 있자 아파트부녀회가 반상회를 통해 반대 의견을 모아 플래카드를 내건 것이다. 한 주민은 "어린이집이 생기면 시끄럽고 단지 안에 외부 차량이 드나들어 위험하고 불편하다는 게 주된 이유였지만 그러면 집값 떨어지는 거 아니냐는 의견도 있었다"고 전했다.
주변 아파트들에도 불똥이 뛰었다. 같은 동네 B아파트 부녀회도 '어린이집 개설 불가' 결정을 내렸다. 인근 C아파트에서는 일부 주민들이 이 아파트에 전세를 얻어 몇 년 째 운영하고 있는 어린이집에 퇴거를 요청했다.
이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동 대표자 회의까지 열렸는데, 다행히 어린이집에 세를 내준 집주인이 "혐오시설도 아닌데 강제로 쫓아낼 수 없다"고 반대해 결정이 보류됐다. 이 어린이집 원장은 "당장 급한 불은 껐지만 전세 기한이 끝나면 어떻게 될지 모르겠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가정어린이집은 아파트나 단독주택에서 소규모(20명 미만)로 운영하는 보육시설을 말한다. 지난해 12월 현재 전국의 가정어린이집은 1만5,525곳으로 전체 어린이집 3만3,499곳 가운데 46%에 달하며, 보육 아동수도 전체 113만5,502명의 19%인 21만438명에 이른다.
가정어린이집이 서울의 일부 아파트 단지에서 기피시설 취급을 받고 있다. 신규 설치를 막는 것은 물론, 기존 어린이집을 내보려는 민원이 잇따라 해당 구청도 골머리를 앓는다.
저출산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올라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이 앞다퉈 출산장려대책을 내놓고 있는 가운데, 정작 맞벌이 가정의 영유아를 주로 보육하는 가정어린이집이 쓰레기소각장, 화장시설 등 혐오시설이 내 지역에 들어서는 것을 반대하는 이른바 '님비(NIMBYㆍNot In My Back Yard)현상'의 타깃이 되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재건축으로 2만5,000여 세대의 대규모 단지가 조성된 잠실에서도 어린이집 인가를 반대하는 민원이 끊이지 않았다. 송파구청 관계자는 "정부의 출산장려방침에 따라 인가를 내주지만 주민들을 설득하는데 어려움이 많다"고 토로했다.
한 어린이집 원장은 "세를 얻기도 힘들었는데 막상 하려고 하니 반대가 심해 떡도 돌리고 일일이 찾아가 설득을 해 겨우 문을 열었다"고 말했다.
주민들이 어린이집을 꺼리는 표면적인 이유는 소음과 차량 주차 및 통행 불편이다. 하지만 이런 이유들로 주거 환경이 나쁘다고 소문나면 집값에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도 작용하고 있다.
서울어린이집연합회 관계자는 "강남 모 지역은 어린이집이 집값을 떨어뜨린다는 주민들의 반발 때문에 아예 어린이집을 개설할 수 없는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고 말했다.
어린이집 운영자나 아이를 맡기는 부모들은 벙어리 냉가슴을 앓고 있다. 부녀자회의의 반대 결정이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대부분 어린이집이 세 들어 있는 처지라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다.
한 어린이집 원장은 "돈벌이 목적이 아님을 설득하기 위해 150만원 남짓한 내 월급 통장을 보여주기까지 했다"면서 "섭섭하긴 하지만 주민들의 이해 없이 운영할 수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학부모 김모(43ㆍ여)씨는 "온 나라가 나서서 아이 낳으라고 권장하는 마당에, 주민들도 지역공동체가 우리사회 미래를 책임질 아이들을 함께 키운다는 생각을 가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대혁 기자 selected@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