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기업이 공동 연구개발(R&D)을 할 때 시작단계부터 연구 인턴을 뽑아 참여하게 한 뒤 R&D가 끝나면 곧바로 해당 기업에 취업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나경환 한국생산기술연구원장이 "일자리 창출과 R&D의 조기 사업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을 수 있는 방법"이라며 밝힌 아이디어이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중소기업들이 산업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생산 기술 등을 개발하기 위해 국가에서 설립한 중소기업 지원 연구 기관. 이 때문에 나 원장의 고민은 늘 "어떻게 하면 중소기업의 사업이 커지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연구를 하느냐"에 있다.
실제로 올해 설립 20주년이 되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그 동안 R&D 기능이 없는 중소기업들에게는 공동 R&D 센터의 역할을 해 왔다. 특히 이곳 연구 과제의 실용화 성공률은 70%로 매우 높은 수준. 대표적 사례가 태양전지 제조 원가의 70%를 차지하는 핵심 부품인 '웨이퍼 잉곳' 제조기술을 개발, 아르케솔라에 10억원의 기술료를 받고 이전한 것이다. 연간 1,600억원의 수입대체 효과가 기대된다는 게 연구원의 설명이다. 선박용 엔진의 핵심 부품 제조업체에게 주조 신기술을 전해줬을 때는 해당 업체에서 앞으로도 중소기업들의 발이 돼 달라는 의미에서 소형차를 선물받은 일도 있다.
나 원장이 최근 새롭게 추진하고 있는 사업 모델 중 하나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등 3자간 협력체계를 구축, R&D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다. 수요 기업이 R&D 초기부터 참여하게 함으로써 구매 조건부 기술 개발 사업이 되도록 하겠다는 것이 그의 구상이다.
나 원장은 아예 연구원 소속 인력을 일정 기간 중소기업에 파견, 해당 업체에서 마음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중소업체 사장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해 보면 가장 큰 애로가 고급 인력 확보였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나 원장은 "R&D는 결국 얼마나 빨리 상용화하느냐가 성공의 관건"이라며 "시장이 원하는 R&D, 파급력이 큰 핵심 기술 R&D에 승부수를 던질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일근 기자 ikpar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