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가 2011학년도 입시부터 입학사정관제로 입학 정원의 38.6%인 1,200여명을 선발하고, 기회균형선발 전형에 지역할당제를 도입해 수년간 합격자를 배출하지 못한 지역의 학생을 뽑기로 했다. 서울대의 2010학년도 입학사정관 선발 비율이 10.6%(330여명)이고, 고려대와 연세대가 각각 23.5%(875명) 16.3%(609명)인 점을 감안하면 파격적인 수준이다.
서울대의 결정은 다른 대학에 영향을 미쳐 입학사정관제 전형 확대를 견인할 것이 확실하다. 이렇게 되면 입시 제도 전반에 변화를 몰고 와 입학사정관제가 대세로 자리잡을 수 있다. 또 초ㆍ중등 과정의 기존 교육 내용이나 방식에 근본적인 수술도 불가피할 것이다. 입학사정관제가 제대로 정착한다면 학교 교육의 정상화를 이뤄내는 것도 어려운 일은 아니다.
그러나 해결해야 할 과제가 한두 가지가 아니다. 입학사정관제는 내신ㆍ수능 성적만을 기준으로 하지 않고 학생의 평소 학교생활, 인성, 창의성과 미래 잠재력을 두루 평가하는 방식이다. 때문에 평가의 공정성과 신뢰성, 객관성과 투명성을 확보하는 게 급선무다. 성적이 전체 1% 이내인 학생은 떨어지고 5% 이내인 학생이 합격하는 상황을 학생 학부모들이 납득하도록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대학들이 지혜를 모아 입학사정관 전형의 공통 모델과 기준을 개발해야 한다.
무엇보다 전문적 식견과 경험을 갖춘 입학사정관을 충분히 확보하는 일이 중요하다. 10일 입학사정관 양성기관으로 선정된 서울대 등 5개 대학이 양질의 입학사정관을 많이 양성할 수 있도록 지원 규모를 늘려야 한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처럼 사회 원로를 입학사정관으로 위촉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입학사정관들이 책임감을 갖고 일할 수 있도록 신분을 보장해주는 일 역시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
입학사정관제가 정착하려면 일선 고교는 학교생활기록부, 추천서 등을 엄격히 작성ㆍ관리해 대학의 신뢰를 확보해야 한다. 교육 과정 운영의 특성화, 다양화 및 다양한 비교과 활동 영역의 확대도 필요하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