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당국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3남 정운으로의 3대 세습을 공식화하고 있지만 보다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한다는 기류도 만만치 않다.
"최근 북한 동향을 권력 이양을 위한 정지 작업으로 지나치게 몰아 가는 것 같다"고 지적하는 전문가들이 적지 않고, 정부 안에서도 "남한 당국이 북한 후계 문제를 공개적으로 언급하는 것 자체가 부적절하다"는 불만의 목소리가 나온다. 미국과 중국 정부도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통일부의 공식 입장은 "아직 어떤 사실도 확인된 바 없다"(천해성 대변인)는 것이다. 국가정보원이나 청와대와는 온도차가 난다.
통일부의 한 당국자는 "북한이 해외 공관에 정운을 후계자로 결정했다는 통지를 내려 보냈다는 정황 정보만으로 정운이 후계자로 지명됐다고 기정사실화하는 것은 무리"라며 "지난해 김 위원장 건강 이상설이 나왔을 때 김 위원장이 양치질을 할 수 있다는 정보와 실제 건강한지가 별개였던 것과 같은 논리"라고 말했다.
다른 당국자는 "앞으로 남북 대화를 이끌어 가야 할 부서로서 북한이 가장 민감해 하는 정보 사항을 공론화하는 것은 부담"이라며 "정부가 신중하고 절제된 대응을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과 중국 정부도 정운 후계설을 확인하지 않았다. 로버트 우드 미 국무부 부대변인은 2일 "우리는 확실치 않은 정보를 접하고 있고, (한국 언론 보도에 대해) 어떤 것도 확인할 수 없다"며 "북한에서 어떤 권력 이양이 일어날 것인지를 알 수 없으며 그간 대부분의 보도는 추측성이었다"고 말했다.
중국 외교부 친강 대변인도 2일 정운 후계설과 관련한 기자들의 질문에 "그러냐"고 반문했을 뿐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이 같은 반응은 정운 후계설을 부인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양국 정부의 신중한 스탠스를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견해가 많다. 국방연구원 백승주 안보전략센터장은 "노동당 중앙위 전원회의 같은 절차를 통해 정운에게 공식 직책이 주어지기 전에는 후계자로 확정됐다고 볼 수 없다"며 "북한은 생각 만큼 엉성한 사회가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국정원의 '해외 공관 통지' 정보는 정운에 대한 검증이 시작됐다는 정도로 축소 해석하는 게 맞다"고 했다.
동국대 북한학과 김용현 교수도 "북한이 후계 작업을 하기엔 내외 환경이 너무 불안정하다"며 "북한의 강경행보를 후계 문제와 직결시킬 수도 있겠으나 버락 오바마 정부 초반에 승부를 걸지 않으면 2012년 강성대국 건설이 어렵다는 현실론이 진짜 배경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최문선 기자 moonsu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