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서거한 노무현 전 대통령의 마지막 안식처는 어느 곳이 될까.
정부와 노 전 대통령 유족 측이 24일 고인 장의(葬儀)를 국민장으로 치르기로 하고 장지는 봉하마을로 확정했다. 그러나 유해가 안치될 장소는 아직 결정하지 못해 진통이 예상된다.
당초 노 전 대통령 유해는 서울과 대전 등 2곳에 있는 국립현충원에 묻힐 것이라는 전망이 적지 않았다. 대통령, 국회의장, 대법원장 등이 서거하거나, 국장(國葬)ㆍ국민장으로 장의된 경우 '국립묘지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국립묘지에 안장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양 측은 노 전 대통령이 서거 직전 남긴 유서를 따르기로 결정했다. 노 전 대통령은 유서에서"화장하라. 집 가까운 곳에 아주 작은 비석 하나만 남기라"고 적었다. 유족 측은 이 같은 고인의 유언을 존중해 '집 가까운 곳' 봉하마을을 장지로 정했다.
봉하마을은 '인간 노무현'을 만든 자양분이었다. 노 전 대통령은 75년 사법시험에 합격, 세상 속으로 뛰어들기 전까지 생의 절반 가까이를 봉하마을과 함께했다. 마지막 작별을 고한 곳도 봉하마을이었다.
선영도 봉하마을에 자리하고 있다. 부친(노판석ㆍ76년 사망)과 모친(이순례ㆍ98년 사망) 묘역은 마을입구 야산 중턱에 있다.
고인 장지가 봉하마을로 확정됐지만 유해가 안장될 장소는 논의를 거듭하고 있을 뿐 쉽게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유해 안치 장소로는 선영과 노 전 대통령이 몸을 던진 봉화산 등이 거론되고 있으나 선영은 장소가 비좁고, 봉화산은 평지가 적어 장지로 부적합하다는 점 등이 걸림돌로 꼽히고 있다.
노 전 대통령 측근이던 천호선 전 청와대 홍보수석 비서관은 "(유해 안치)장소를 어느 곳으로 정하고 묘역을 어떤 형태로 꾸밀 것인지 등에 대해서는 좀 더 논의가 필요할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구성된 장의위원회는 묘지 선정과 조성에 관한 세부 준비에 본격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이삭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