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의 온난화가 세계 평균보다 2배 이상 급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기상연구소에 따르면 1912~2008년 한반도의 연평균 기온은 1.7도가 상승해 비슷한 기간 0.74도인 세계 평균기온 상승치를 크게 웃돌았다. 겨울이 짧아지고 여름이 길어지는 등 기후의 아열대화 경향도 뚜렷했다. 연구결과는 2007년 기상청이 작성한 한반도의 지역기후모형(RCM)을 뒷받침한다. 이 모형은 2100년 한반도 기온이 현재보다 4도 오르고, 강수량이 17% 늘 것으로 예고한 바 있다.
한반도의 온난화는 '가상 현실'이 아니라 이미 임박한 실제 위협임이 분명해졌다. 더욱이 가까운 미래에 이런 추세의 종식이나 반전을 기대하기도 어렵다. 한반도 자체의 도시화와 인구집중도 문제지만, '세계의 공장'으로 떠오른 중국의 산업화와 도시화가 한반도 가까운 지역에 집중돼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거론돼 온 온난화 대책의 재검토 필요성이 커졌다. 온실가스 감축 후진국으로서 늦게나마 세계적 노력에 동참하겠다는 장기 대책도 중요하지만 그것만으로 대응할 수 없는 '국지적 요구'에 걸맞은 특단의 단기 대책도 긴박해졌다.
온난화는 우선 작물재배 지역의 변화를 가져온다. 사과가 강원도에서 재배되고, 배 복숭아 같은 온대성 과일도 북상하고 있다. 산림 식생대의 변화는 일부 수종의 소멸까지 예고한다. 잘 대응하면 농업생산력 증대로 이끌어갈 수 있지만, 자칫 기존 생산기반만 무너뜨릴 수 있다. 바다 생태계 변화에 따른 수산업계의 대응 또한 마찬가지다.
기상재해 위험성도 커졌다. 폭우와 가뭄의 대비가 뚜렷하고, 태풍의 위력도 커지고 있다. 자연하천 복원과 저류지 조성, 빗물 저장시설 확충 등으로 물 저장능력을 키워 대응해야 하고, 급격한 환경변화를 고려해 방재기준을 크게 끌어올려야 한다. 곤충과 미생물의 번ㆍ증식 환경 변화에 따른 병충해와 질병에도 대비해야 함은 물론이다.
그 동안의 생태ㆍ환경론적 논의를 뛰어넘는 정책적 결단과 행동이 요구된다. 가치중심적 논의에 그치지 말고 공학ㆍ기술적 대안을 찾는 실용주의적 녹색정책이 시급하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