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과 청와대가 4ㆍ29 재보선 참패의 한 요인인 친이-친박 갈등의 해소책으로 추진한 '김무성 원내대표 추대론'이 물 건너 간 꼴이다. 방미 중인 박근혜 전 대표가 "당헌 당규를 어겨가면서 그런 식으로 원내대표를 하는 것은 반대"라며 거부한 탓이다.
전 날 청와대 회동에서 친박계 중진인 김무성 의원의 원내대표 추대 방안에 공감대를 형성했던 이명박 대통령과 박희태 한나라당 대표의 모양새가 우습게 됐다. 당 화합을 위해 추진했던 방안이 도리어 계파 갈등을 부추기게 됐으니 청와대와 한나라당으로서는 큰 낭패다.
여권에서는 지도자로서 책임이 있는 행위냐고 박 전 대표를 비난하는 측도 있지만 어느 정도는 예견된 반응이었다.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 간 뿌리 깊은 불신을 해소하기 위한 진정성 있는 조치 없이 계파의 중진 한 명을 주요 당직에 배치하는 방안을 선선히 받아들이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국정의 전반적 쇄신책이 미흡한 상태에서 섣불리 책임의 일단을 떠맡을 수 없다는 계산도 작용했을 법하다. 한나라당 주류와 청와대가 너무 안이하게 접근했다는 지적을 면하기 어렵다고 본다.
한나라당 내 지도급 인사로서 박 전 대표의 처신에도 문제가 적지 않다. 당 화합을 위한 명분이라지만 원내대표를 경선하게 돼 있는 당헌 당규를 어기고 추대하는 것은 잘못이라는 말은 틀리지 않는다.
그러나 단합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른 상황에서 당내 갈등의 주요 축인 박 전 대표가 이렇다 할 대안 제시도 없이 당헌 당규를 들어 원칙론만 개진하는 것은 무책임해 보인다. 박 전 대표는 언제까지 책임 없는 비주류 수장으로서 정부 여당이 곤경에 처할 때마다 반사이익을 챙길 것이냐는 당 안팎의 따가운 시선을 무겁게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결국 친이-친박 갈등을 더 키운 꼴이 된 '김무성 원내대표론' 소동은 국정과 당 운영에 근본적 쇄신 없이 어설프게 4ㆍ29 재보선 참패의 책임을 미봉하려던 데서 비롯됐다. 한나라당과 청와대는 위기의 본질을 직시하고, 내용과 방법에서 걸맞은 쇄신책과 단합 방안을 내놓아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