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관리 상태인 쌍용자동차의 존속가치가 청산가치보다 높다는 삼일회계법인의 실사보고서가 법원에 제출됐다. 삼일회계법인은 쌍용차의 계속 기업가치(1조3,276억원)가 청산가치(9,386억원)보다 3,890억원이 큰 것으로 평가했다. 하지만 채권단의 신규자금 2,500억원 수혈과 인력 감축 등 구조조정을 충족해야 한다는 조건을 달았다. 대주주인 중국 상하이차의 전격 철수로 2월부터 법정관리를 받고 있는 쌍용차로선 기사회생할 수 있는 단초는 확보한 셈이다.
그러나 정상화 가도는 온통 가시밭길뿐이다. 배가 침몰 직전인데도 구조조정을 거부한 채 총파업을 예고한 강성 노조가 첫 번째 걸림돌이다. 판매가 급감하고 있다는 점에서 독자생존 가능성도 불투명하다. 이 두 가지 핵심 문제를 감안하면 회계법인 보고서는 지나치게 낙관적이라는 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쌍용차 생산차종은 고가의 레저용 차량(RV)과 대형 승용차에 편중돼 있어 경제위기를 맞아 판매 급감의 직격탄을 맞고 있다.
생산규모도 연산 10만대 이하로, 소형차에서 대형차까지 풀 라인업을 구축한 현대ㆍ기아차 등에 비해 생존력이 떨어진다. 세계 자동차업계는 미국 GM과 크라이슬러의 몰락, 유럽의 피아트와 폴크스바겐의 발빠른 인수합병(M&A) 행보로 빅뱅이 일어나고 있다. 자동차업계의 엄청난 지각변동 속에서 채권단이 규모의 경제를 갖추지 못한 쌍용차에 자금을 지원한다 해도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로 끝날 수 있다.
쌍용차가 생존력을 확보하려면 뼈를 깎는 구조조정으로 비용을 최대한 줄이고, 판매 회복에 전사적 역량을 투입하는 수밖에 없다. 관건은 노조다. 계속 구조조정을 거부하며 모두가 침몰하는 자멸의 길을 갈 것인지, 인력 감축에 협조해 회사를 존속시킬 것인지 냉철히 판단해야 한다.
막무가내식으로 구조조정을 거부한다면 채권단의 자금 지원도 불가능해진다. 채권단은 쌍용차 노사의 고강도 구조조정을 전제로 시장논리에 따라 정상화를 추진해야 한다. 구조조정으로 기업가치를 유지하면서 제3자 매각도 병행하는 게 그나마 채권손실을 줄이는 길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