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은행들의 외환 건전성이 지난해 9월 리먼브러더스 파산 사태 이전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자본 건전성 사정도 호전돼 정부 주도의 자본확충펀드 수혈도 일단 중지되는 분위기다.
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 2월말 현재 국내 18개 은행의 3개월 외화유동성비율(만기가 3개월 이내로 남은 외화자산을 3개월 이내 외화부채로 나눈 것)은 106%로 작년말(98.9%)보다 7.1%포인트 상승했다. 이 비율은 2007년말 102.7%에서 작년말 100% 아래로 떨어졌었다.
이 밖에 자산과 부채의 만기불일치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들도 2월말 현재 금감원의 지도비율을 웃돌고 있다. 금감원은 "정부의 선제적인 외화유동성 공급과 대규모 무역흑자, 외국인 투자자의 인식개선 등의 영향으로 국내 은행의 외화유동성이 크게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최근 자금시장 경색현상도 완화되면서 은행들의 자본확충펀드 수요는 거의 자취를 감췄다. 무엇보다 유상증자나 후순위채 발행 등을 통해 자체 자금조달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자본확충펀드 운영위원회는 지난달 말부터 12조원 규모로 자본확충펀드에 한도 배정을 신청한 14개 은행을 상대로 2차 자본수혈 수요조사에 들어갔으나 이번주 마감을 앞두고 아직 신청 움직임이 없는 상태다.
금융위원회는 당초 올 상반기에만 3차례에 걸쳐 은행권에 펀드자금을 수혈할 계획이었지만 수요가 없다면 굳이 추가지원을 하지 않을 방침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1차 배정 한도를 상반기 중 모두 쓸 필요는 없다"며 "은행들이 스스로 자본을 확충할 수 있다면 가장 좋다"고 말했다.
김용식 기자 jawohl@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