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의 변화 움직임이 활발하다. 한나라당 개혁성향 초선의원 모임인 '민본 21'은 지난 주 쇄신특위 구성을 요구한 데 이어 어제는 조기 전당대회를 촉구했다. 당내 중진그룹 일부가 동조하고, 홍준표 원내대표도 지도체제 개편과 계파 갈등 종식을 위한 새로운 '프레임'(인식ㆍ사고의 틀)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런 움직임은 어제 이명박 대통령과 박희태 한나라당 대표와의 회동에서도 그대로 이어졌다. 박 대표가 "당 단합을 위한 전례 없이 강한 조치"를 언급한 데 대해 이 대통령은 "계파 소리는 안 나올 때가 됐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당ㆍ청 소통을 위한 제도적 장치에 대해서도 "좋은 생각"이라고 공명했다.
여권 스스로 '쇄신과 단합'이라고 지향점을 밝힌 현재의 움직임은 이 정부 출범 이래 끊임없이 제기됐고, 4ㆍ29 재보선에서 거듭 확인된 민심의 요구와 방향은 일치한다. 2년 전의 대통령 후보 경선 이래 사사건건 친이ㆍ친박으로 나뉘어 갈등해 온 게 사실이기 때문이다. 친박 계열 김무성 의원을 원내대표로 추대하는 것이 최선인지는 미지수지만, 적어도 말만이 아니라 구체적 행동으로 보여줘야 한다는 점은 두말 할 나위도 없다.
당ㆍ청 엇박자 해소를 위한 소통 장치 확보도 당내 화합 못지않게 중요하다. 정무장관이든 총재 비서실장이든, 당ㆍ청 간의 의사조정 통로가 분명해져야 정책의 시행착오와 그에 따른 국민 신뢰 저하를 막을 수 있다. 이 대통령이 경제뿐만 아니라 정치적 조정능력을 갖춘 지도자가 되는 데도 불가결하다.
그러나 민심의 요구를 제대로 읽고, 진정으로 본격적 체질개선에 나서겠다면 이 두 가지만으로는 부족해 보인다. 우선 내부 갈등을 해소하려는 움직임은 국민의 짜증보다는 여권 스스로의 불편이 주된 동인이다. 정책의 일관성도 당ㆍ청 소통에 덧붙여 청와대가 중심이 되어 부처와 위원회 등의 혼선을 거르지 않고서는 좀처럼 확보되기 어렵다. 아울러 국민을 정책 대상으로나 여기는 일방주의로 흐르지 않았는지, 겸손한 정부의 자세에 어긋남이 없었는지 반성할 때 체질개선 시도가 국민에게 희망을 줄 수 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