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임기가 끝나는 민주당 원혜영 원내대표의 지난 1년은 공과가 공존한다. 하지만 실패가 소수 야당 원내사령탑으로서 짊어져야 할 숙명이란 점에서 종합 평가는 좀 더 후한 쪽으로 갈 수밖에 없다.
84석의 민주당은 독자적으로 장관해임건의안도 발의할 수 없다. 야당의 제1임무가 견제라고 할 때 의사당에서 떠들어대는 것 외에는 뾰족한 수단이 없는 셈이다.
그랬던 민주당이 연말 연초 임시국회에서 거대 여당의 85개 중점법안 일괄처리를 저지했다. 물론 본회의장 점거농성이라는 반의회주의 방법을 동원한 것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어쨌든 대여 강경투쟁의 중심에 그와 정세균 대표가 있었다.
또 원 원내대표는 지난해 2월 대통합민주신당과 민주당 합당 이후 당이 화학적 결합을 이루지 못하고 내부 반목을 거듭하는 상황에서 당내 이견을 무난하게 관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비교적 계파색이 덜하면서 개혁성도 갖춘 원혜영식 화합의 리더십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친환경 자연식품회사 풀무원의 창업자 이미지를 떠올리면 이해가 쉽다.
하지만 유연함이 야당 원내사령탑의 덕목은 아니었던 것 같다. 임기 내내 "야성(野性)과 원내전략이 부족하다" "여당에 끌려 다닌다"는 비판을 자주 샀다. 특히 2월 임시국회에서 '미디어법 사회적 논의기구' 설치로 100일 간의 시간만 번 채 결국은 여당에 '미디어법 6월 처리' 약속해 준 것이 컸다. 당시 당내 강경파들은 "백기투항했다"며 퇴진론까지 제기했다. 물론 지금도 그는 "앉아서 일거에 당하느냐, 일부라도 타협을 해서 막아내느냐는 선택의 문제였다"고 말한다.
그는 국회 정보위원회 위원 자격으로 14일까지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을 둘러보기 위해 해외 출장을 간 상태다. 떠나기 전 측근에게 "언론악법 저지 책임을 후임자에게 넘기고 떠나는 것이 아쉽지만 4ㆍ29재보선 수도권 승리로 대안세력의 가능성을 확인한 것이 그나마 위안이 된다"는 소회를 전했다.
경기 부천시장 출신의 3선 의원인 원 원내대표는 한때 경기지사를 염두에 두고 있다는 말이 돌았다. 하지만 지금은 "부천과 규모의 차이가 있을 뿐인 경기도 단체장 역할을 또 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선을 긋고 있다. 당분간은 내년 지방선거에서 수도권 바람을 일으킬 인재 영입 등에서 역할을 할 생각이라고 한다.
김영화 기자 yaaho@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