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째 평양에 의류 임가공 작업을 맡겨온 A사 B사장은 요즘 '죽을 맛'이다. 여름철 스포츠의류 매출 목표를 100억원으로 잡았는데 통일부의 방북 불허로 평양 공장 상황을 제대로 챙기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B사장은 "원래 지난달 8일 평양에 들어가 여름 출하 물량 디자인과 일정을 조정했어야 하는데 못하고 있다. 핵실험 때도 이러진 않았다. 언제부터 통일부가 우리 안전을 챙겼다고 방북을 막는지 모르겠다"고 답답해 했다.
지난해 12월부터 평양 낙랑구역에 식품 가공 공장을 건설 중인 C사 D사장도 사정은 매한가지. 그는 "이제 기초공사가 끝나 변압기 설치, 본공장 건축 등을 위해 20여명이 방북해야 하는데 정부가 허가를 내주지 않는다"며 "차라리 법인을 홍콩에 만들어 사업을 추진했다면 이렇게 고생을 안 할 텐데"라고 하소연했다.
통일부가 북한 장거리 로켓 발사를 이유로 평양 방북 길을 막은 지 4일로 한 달이 되면서 대북 경제협력업체들의 속이 타 들어가고 있다. 가뜩이나 경제 상황이 좋지 않은데 방북 불허 조치로 인해 정상적인 사업 운영마저 힘들어져서 그렇다.
방북 승인권을 쥐고 있는 통일부는 로켓 발사에 따른 정세 불안을 이유로 지난달 4일 평양 상주 남한 경협업체 관계자 80여명을 철수시켰다. 그러나 이후 상황이 바뀌고 있음에도 계속 방북을 불허하고 있다.
대북 경협업체 E사 관계자는 "북한이 신변안전 보장 각서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방북을 막더니 신변안전 보장 문구가 담긴 공문을 제시했는데도 다른 이유를 대 막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통일부 당국자는 "개성공단 현대아산 직원 억류로 인해 우리 국민의 신변 안전 강화 문제가 대두되면서 신변안전 보장 문구를 요구하긴 했지만 이는 권고 사항일 뿐 충분조건은 아니다"고 해명했다. 다른 당국자는 "규정에 따라 선별적으로 방북 허가를 처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북 소식통은 그러나 "정부가 대북 압박 차원에서 북한의 달러박스 중 하나인 남한 경협업체의 평양 방문을 제한하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다만 통일부는 인도주의 대북 지원 단체의 방북은 사안 별로 승인하고 있다.
정상원 기자 ornot@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