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29일 국회의원 재선거 5곳에서 전패했다. 특히 야당 후보와 정당대결을 펼친 부평을과 울산 북구의 경우 한나라당이 다른 정당보다 당 지지율에서 크게 앞서 내심 승리를 기대했지만 결과는 여지없이 빗나갔다. 이 같은 '따로 따로' 현상이 왜 나타났을까.
이에 대해 재보선의 특성상 여권에 대한 견제심리가 작용했다는 분석이 많다. 유권자들이 여야 후보 비교를 넘어 정부 여당에 대한 중간평가를 염두에 두다 보니 한나라당 후보의 득표율이 당 지지율을 따라잡지 못했다는 것이다.
김지연 미디어리서치 이사는 30일 "재보선에는 당시의 정국 흐름과 정부 여당에 대한 평가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며 "한나라당 지지자들도 정권 심판이라는 재보선의 기본틀을 의식하고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GM대우자동차 노조의 조직적 표심이 위력적인 부평을과 '영남의 섬'으로 불릴 정도로 진보적 투표성향이 강한 울산 북구의 지역적 특성이 한나라당 후보의 득표에 제동을 걸었다는 분석도 가능하다.
물론 한나라당의 전략 공천에도 불구, 인물 경쟁력을 제대로 살리지 못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경제전문가를 내세웠지만 인지도나 정치적 중량감이 떨어지다 보니 당 지지율을 등에 업고 부동층까지 흡수해야 할 후보가 당 지지율을 따라잡는 데 급급했다는 설명이다.
특히 당초 접전을 벌일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10% 포인트 차이로 민주당에 패한 부평을의 경우 한나라당 이재훈 후보가 지역 출신이 아니라는 점도 변수였다.
이경헌 포스커뮤니케이션 대표는 "정당 지지자들에게 '경제전문가'는 필요조건에 불과하다"며 "경제전문가라도 지역 출신에 정당을 대표하는 상징성을 못 갖추면 표심을 파고드는 데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울산 북구의 경우 진보진영의 후보 단일화 못지않게 한나라당의 지나친 색깔 공세도 패인으로 지적된다. 막판 보수성향 유권자의 표를 결집하기 위해 진보신당 조승수 후보를 좌파로 몰다 보니 단일화로 후보를 사퇴한 민주노동당 김창현 후보 지지자 등의 반발 표심을 자극, 지난해 총선 투표율에 육박하는 46.7%의 높은 투표율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김광수 기자 rolling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