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인 2일 촛불집회 1주년 기념 집회 참가 시위대가 경찰과 충돌했다. 노동절이었던 1일에도 서울 명동 일대에서는 심야 폭력 시위가 발생했다. 이틀 동안 시위 참가자 180여명이 경찰에 연행됐고 부상자도 속출했다. 특히 2일 시위 참가자들은 서울역광장에서 광화문으로 행진하던 중 하이서울페스티벌 개막 식전 행사가 열리고 있던 서울광장으로 난입해 무대를 점거하고 개막식 행사를 무산시켰다. 다른 시민들의 권리는 안중에도 없는 횡포가 아닐 수 없다.
시위 목적과 주장의 정당성 여부를 떠나 시민 축제장을 난장판으로 만들고, 심야 도심 교통을 마비시켜 시민들에게 큰 불편을 끼친 행위는 묵과할 수 없는 불법 행위다. 더구나 외국인 관광객의 한국 방문 증가가 외환 수지에 도움을 주고 관광ㆍ유통ㆍ서비스 업계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는 상황에서 폭력 시위가 한국의 대외 이미지를 악화시켜 관광 수입 감소로 이어지지 않을까 우려스럽다. 자신들의 요구나 주장을 관철하려고 폭력적 수단과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민주주의의 근간을 훼손하는 것이다.
1년 전, 평화롭게 시작된 촛불집회가 폭력 시위로 변질된 이후 우리는 국가ㆍ사회적으로 큰 손실을 감내해야 했다. 그때의 쓰디쓴 경험에서 교훈은 얻지 못할 망정 아직도 폭력 시위에 의존하려는 세태가 엄존하는 현실은 성숙한 민주주의 사회로 가는 데 큰 걸림돌이 아닐 수 없다.
폭력 시위 근절을 위해서는 법에 의한 단호하고도 일관된 대처가 중요하다. 무엇보다 정치ㆍ경제ㆍ사회적 불만들이 거리로 쏟아져 나오지 않게 정치권과 정부가 협조해 정책적으로 선제 대응하는 것이 긴요하다. 용산 참사 발생 직후 요란하던 정부와 여당의 도심재개발 개선 약속이 흐지부지된 사례가 보여주듯 말뿐인 대책은 불만과 폭력을 양산할 뿐이다.
아울러 경찰은 전문 시위자와 시위집단을 그렇지 않은 이들과 엄격히 구분해 대응할 수 있도록 체계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평화적 시위와 집회는 최대한 보장하는 유연성을 발휘하되 폭력 시위 참가자들은 끝까지 추적해 처벌하는 단호함을 보여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